Spur-like Lesion on the Lateral Tibial Condyle - A Sign of Chronic ACL tear -

경골 외과의 골극 유사 병변 - 만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의 징후 -

  • Cho Sung-Do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Ulsan University Hospital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Ko Sang-Hu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Ulsan University Hospital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Hwang Su-Yeo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Ulsan University Hospital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Yang Jung-Hu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Ulsan University Hospital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조성도 (울산대학교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고상훈 (울산대학교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황수연 (울산대학교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양정훈 (울산대학교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Purpose : Authors experienced cases of chronic ACL tear with spur-like lesion on the tibial condyl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lateral capsular sign and degenerative change and evaluated the significance of 'spur-like lesion' in relations with chronic ACL injury. Material and Method : We have 5 patients with spur-like lesion on the lateral tibial condyle in simple radiogram. The location, shape and size of the lesion were studied using radiogram and MRI. Cause of injury, associated injury and chronicity of the ACL tear were analyzed. All 5 patients were male, and mean age was 33.8 $(17\~46)$ years. Result : The spur-like lesion was located from 3.8 mm(avg.) below the articular surface of the lateral tibial condyle to the apex of the fibular head and protruded laterally or inferolaterally from just posterior to the Gerdy's tubercle with a round or sharp-end triangular shape. Average length was 6 mm and average width ortho base was 9.2 mm. The cause of injury were sports jnjury 4 cases and traffic accident in one. The chronicity of the ACL tear was average 10.7(8 months$\~$23 years) years and medial meniscus tear was shown in all cases and lateral meniscus tear in three. Conclusion : We suggest that a patient who has a history of trauma with spur-like lesion on the lateral tibial condyle of the knee is expected to have chronic ACL tear.

목적 : 외측 관절낭 징후나 퇴행성 변화로 발생하는 것과 다른 경골 외과의 골극과 유사한 병변이 관찰되는 환자에서 만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이 있음을 발견하여 병변의 특징과 함께 만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과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단순 방사선 전후면 사진상에서 발견된 경골 외과의 골극 유사 병변을 보인 5례를 대상으로 그 병변의 위치, 모양 및 크기에 대해 단순 방사선 전후면 사진과 자기 공명 영상 횡단면 사진을 이용하여 알아보고, 수상 후 내원 당시까지의 기간, 손상 원인, 및 동반 손상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전례가 남자였고, 평균 연령은 33.8 $(17\~46)$세 였다. 결과 : 골극의 위치는 경골 외과 관절면에서 평균 3.8$(2\~5)$ mm 하방에서 비골두의 첨부 상방이나 첨부 경계면 까지 위치하고, Gerdy's tubecle의 직후방에서 외측 또는 외하방 쪽으로 돌출되어 있었다. 둥글거나 예리한 끝을 가진 삼각형 형태로 평균 길이가 6$(4\~8)$ mm, 경골 외과와 연결된 기저부 너비가 평균 9.2$(5\~16)$ mm였다. 전례에서 만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을 보였으며, 손상 원인은 스포츠 손상이 4례, 교통 사고 1례였다. 수상 후 내원 당시까지의 기간은 평균 10.7(8개월$\~$23년)년이였으며, 동반 손상으로 내측 반월상연골 파열이 전례에 있었고, 외측은 3례이었다. 결론 : 단순 방사선 전후면 사진상 경골 외과의 골극 유사 병변은 외상의 병력이 있으나 수술 받은 과거력이 없는 경우 만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을 의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