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s propelling the establishment's project of school library digital resource room under recognizing school library is essential facility that it is to educate students to become autonomous and creative person, to embodies a 7th curriculum in the knowledge base society. There is a necessity which it will analyze demonstrative operating school library digital resource room for maximize to educational effect and to establish efficiently. Thus, this study is prepares a foundation of school library informationization as analyzes an operational status and an educational effect with 96 school library digital resource room which are established in tool year.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하는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하고, 제7차 교육과정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학교도서관이 필수적이라는 인식 하에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 시범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을 효과적으로 설치하고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시범 운영중인 디지털자료실의 운영 실태와 교육적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개선 및 발전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1년도에 설치된 96개의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을 대상으로 운영 실태와 교육적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초.중등학교의 도서관정보화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마련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