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수학 교과서 영역별 분석 및 표준 수학 교육과정안 개발 연구 (II): 남북한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의 구성과 전개방법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South and North Korea on Mathematics Textbook and the Development of Unified Mathematics Curriculum for South and North Korea (II) - Focusing on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of South and Those of North Korea -

  • 발행 : 2003.03.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의 외형과 단원체제, 각 영역별 내용 요소의 비중과 도입시기, 문장제의 소재 등 다소 양적인 비교에 초점을 둔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남북한 초등학교 수학교과서를 내용 구성과 전개 과정에서의 구체적인 특징에 주목한 질적인 관점에서 비교.분석하였다. 먼저 내용 구성에 관한 비교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학생들의 정의적.인지적 특성을 고려하여 학습 내용을 분산.교차하여 배치하는 남한과 달리 북한에서는 관련된 요소를 집중 배치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생활 소재를 통하여 문제상황을 제시하고 점진적이고 구체적인 활동으로 학습 내용을 제시하는 남한과 달리, 인민학교 교과서에서는 여러 형태의 문제를 통하여 학습을 유도하고 있다. 또한 내용 전개의 주요 전략으로 남한은 '안내'를. 북한은'설명'을 따르는 것으로 파악된다. 단계화된 탐구형 질문으로 안내하면서 학습을 유도하는 남한과 달리 북한에서는 의미 있는 설명을 통하여 학습 내용을 다루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intends to compare the structure of contents and the way of developing concepts in mathematics textbooks of south and those of north Korea. After thorough investigations of the textbooks from south and north Korea,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First, the mathematics textbooks of south Korea tends to spread out contents across several grades, while those of north Korea have a tendency of centralization in terms of locating contents Second, in the textbooks of South Korea, mathematics concepts are permeated through real world situations, and students gradually acquire those concepts mostly through activities. This is different from the approach of the north Korean textbooks in which various problems play a key role in explaining concepts. Third, the main strategy of introducing contents in the textbooks of south and that of north Korea corresponds to 'guidance' and 'explanation' respectively. Exploratory questions leading to the concepts are more emphasized in the textbooks of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meaningful explana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textbooks of north Korea.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