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 만복대.고리봉.수정봉 일대의 관식물상

Vascular Plants of Manbokdae, Goribong and Suieongbong in the Baekdudaegan

  • 임동옥 (호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자연자원학부) ;
  • 김용식 (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자연자원학부) ;
  • 박양규 (호남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 유윤미 (호남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발행 : 2003.03.01

초록

여원재에서 만복대 사이 백두대간에 해당되는 지역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104과 305속 439종 60변종 3품종 총 502종류로 확인되었다. 산림청이 지정한 회귀 및 멸종위기종은 구름송이풀, 구상나무 금마타리, 께묵, 눈향나무(식), 땅나리. 목련(식). 산작약. 뻐꾹나리. 금강제비꽃의 총 10종류와 환경부의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한 멸종위기 및 보호야생식물종은 보춘화 1종류가 조사되었다. 한국특산식물 종은 개나리(식), 구상나무, 금마타리, 꽃마리, 나비나물, 노각나무, 말채나무, 병꽃나무, 분취, 뻐꾹나리, 일월비비추, 할미밀망 등의 총 24종류가 확인되 었다.

The vascular plants in Manbokdae-Yeowonjae section of the Baekdudaegan were consisted of 502 taxa; 104 families,305 genus,439 species, 60 varieties, 3 forma. From the floristic point of view, the Baekdudaegan of Manbokdae-Yeowonjae section belongs to the southern province in Korea. The rare and endangered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Abies koreana, Pedicularis verticillata, Patrinia saniculaefolia, Hololeion maximowiczii, Lilium callolsum, Paeonia obovate, Tricyrtis dizutata and VioEa diamantica, and Cymbidium goeringii. The Korean endemic species were Abies koreana, Patrinia saniculaefolia, Vicia unijuga, Stewartia koreana, Cornus walteri, Weigela subsessilis, Saussurea seoulensis, Tyicyrtis dilatata, Hosta capitata, Clematis trichotoma et at.

키워드

참고문헌

  1. 곽애경, 오장근, 박연우(1999) 백두대간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상연구지 4: 1-33
  2. 김삼식(1989) 지리산 희귀식물 학술조사 보고서 경상남도 산청군. 100쪽
  3. 김영두(1975) 지리산 북면의 식물조사 제1보. 목본식물. 진주농전논문집 12: 79-86
  4. 김영두(1976) 지리산 북면의 식물조사 제2보. 초본식물(쌍자엽식물). 진주농전논문집14: 13-22
  5. 김영두(1977) 지리산 북면의 식물조사 제3보. 양치식물 및 초본식물(단자엽식물). 진주농전논문집 15: 235-242
  6. 김용식, 임경빈(1991) 지리산 국립공원 지역 내 화엄사계곡의 식물상. 응용생태연구 5: 1-18
  7. 김용식, 임동옥, 전승훈, 신현탁, 김병도(2000) 지리산 국립공원 동부지역의 관속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13(4): 316-329
  8. 산림청(1997) 희귀 및 멸종 위기 식물 도감. 국립수목원. 255쪽
  9. 산림청. 녹색연합(1999) 백두대간 산림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산림청. 602쪽
  10. 선병윤, 신현철, 조강현(1998) 지리산 왕등재 습지생태계. 국립공원관리공단. 12-24쪽
  11. 신정식(1985) 지리산 서남부 지역의 식물상. 순천대 석사학위논문. 92쪽
  12. 이상명(2001) 지리산국립공원 생태계 연구 -지리산국립공원 유관속 식물상-. 국립중앙과학관 학술총서. 34: 131-190
  13. 이영노, 오용자(1983) 지리산 피아골 일대 종합학술조사 보고서 -피아골의 식물상-. 한국자연보존협회. 25-37쪽
  14. 이우철, 임양재(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식물분류학회지 8: 1-33
  15. 이은복, 정규영(1993) 지리산 북부지역 일대 종합학술 보고서 -지리산 북부지역 일대의 식물상-. 한국자연 보존협회 31: 37-79
  16. 이창복(1963) 지리산지역 개발에 관한 조사보고서 -지리산의 식물자원-. 지리산지역 개발조사 연구위원회. 295-345쪽
  17. 이창복(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쪽
  18. 임양재, 김정언(1992) 지리산의 식생. 중앙대학교 출판부. 107-160쪽
  19. 전승훈, 석동임(1997) 지리산 만복대(전북남원)의 식물상-제2차 자연환경조사 1997-. 환경부. 1-14쪽
  20. 정영철(1988) 지리산자연생태계 조사보고서 -지리산 지역의 식물상-. 환경청. 43-109쪽
  21. 정흥락, 양금철(1997) 구례.남원(만복대) 지역의 식생-제2차 자연환경조사 1997-. 환경부 1-19쪽
  22. 조석필(1993) 산경표를 위하여. 사람과 산 편집실. 109쪽
  23. 홍경희(1987) 지리산 순두류일대의 초본식물상 조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2쪽
  24. 환경부(1994) 특정 야생 동식물 화보집. 환경처. 210쪽
  25. 中井猛之進(1915) 지리산 식물조사 보고. 98쪽
  26. 初島住彦(1934) 남조연습림 식물조사. 구조대학 연습림 보고 제5호. 263쪽
  27. 岡本省吾(1961) 조선 지리산의 식목록. 경도대학농학부연습림보고 31: 1-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