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Daedeoksan- Geumdaebong Nature Ecosystem Preservation Area in Baekdudaegan

백두대간 대덕산-금대봉 자연생태계 보전지역의 산림군집구조

  • Published : 2003.04.01

Abstract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and the conservation strategy of Nature Ecosystem Preservation Area, 65 plots(10m$\times$10m) set up with random sampling method were surveyed. five group -Larix leptolepis Community, Quercus mongolica-Fraxinus rhynchophylla Community, Fraxinus rhynchophylla-Quercus mongolica community. Quercus mongolica-Acer pseudo-sieboldianum community, Quercus mongolica community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High positive correlations was proved between Quercus mongolica and Sorbus of alnifolia, Acer Mono, Lonicera praeflorens, Sorbus commixta ; Acer mono and Lonicera praeflorens, Sorbus commixta ; Maackia amurensis and Acer triflorum ; Fraxinus rhynchophylla and Betula davurica ; Lonicera praeflorens and Cornus controversa, Sorbus commixta ; Acer triflorum and Rhamnus toshinoi ; Pyrus ussuriensis and Prunus padus ; Cornuscontroversa, and Sorbus commixta, and high negative corrlations was proved between Quercus mongolica and Larix leptolepis, Carpinus cordata ; Tilia amurensis and Larix leptolepis, Morus bombycis. Species diversity(H' ) of investigated groups were ranged 0.4443~1.2036.

백두대간의 대덕산-금대봉에 이르는 자연생태계보전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산림의 생육현황과 군집 구조를 파악하여 앞으로 자연생태계보전지역 관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대덕산-금대봉 자연생태계보전지역에 65개의 방형구(10m$\times$1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분석한 결과 조사 대상지는 5개의 군집 일본 잎갈나무우점군집, 신갈나무-물푸레나무우점군집, 물푸레나무-신갈나무우점군집, 신갈나무-당단풍우점군집, 신갈나무우점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신갈나무와 팥배나무, 고로쇠나무, 올괴불나무, 마가목 ; 팥배나무와 고로쇠나무, 올괴불나무, 마가목 ; 고로쇠나무와 올괴불나무, 마가목 ; 다릅나무와 복자기 ; 물푸레나무와 물박달나무; 올괴불나무와 층층나무, 마가목; 복자기와 짝자래나무; 산돌배와 귀룽나무 ; 층층나무와 마가목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신갈나무와 일본잎갈나무, 까치박달; 피나무와 일본잎갈나무, 산뽕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지수는 0.4443~1.2036 범위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갑태, 백길전(1998) 태백산 장군봉지역 주목림의 임분구조에 관한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2(1): 1-8
  2. 김갑태, 백길전(1997) 설악산국립공원 대청봉-한계령 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1(4): 391-398
  3. 김갑태, 추갑철, 백길전(2000) 지리산국립공원 명선봉, 덕평봉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구상나무군집-.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4): 299-308
  4.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6a) 오대산 국립공원 동대산, 두노봉, 상왕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9(2): 147-155
  5.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6b) 오대산 국립공원 상원사, 비로봉, 호령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0(1): 151-159
  6.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7) 설악산국립공원 대청봉-소청봉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0(2): 240-250
  7. 박인협(1981) 경기도 지방 적송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쪽
  8. 산림청, 녹색연합(1999) 백두대간 산림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365~451pp
  9. 오구균, 박석곤(2002) 백두대간 피재-도래기재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4): 330-343
  10. Ludwig, J.A. and J.F. Reynolds(1988) Statistical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377pp
  11. Pielou, E.C.(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68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