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Prediction System of Sea Fogs in the East Sea

동해의 해무 예측 시스템 연구

  • 서장원 (기상연구소 해양기상지진연구실) ;
  • 오희진 (기상연구소 해양기상지진연구실) ;
  • 안중배 (부산대학교 대기과학과) ;
  • 윤용훈 (기상연구소 해양기상지진연구실)
  • Published : 2003.05.01

Abstract

We have found that the east coast of Korea has had few sea fogs on January, February, November and December for the past 20 years by the analysis of monthly fog frequency and duration time. These phenomena appear to relate to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which the Taebaek Mountains descends toward the east to bar the radiation fog. On the other hand, the cause of occurring the spring and summer fog which has 90% of the whole frequency is divided into three cases. The first is the steam fog caused by the advection of the northeast cold air current on the East Sea due to the extension of Okhotsk High. The second is the advection fog caused by cooling and saturation of warm airmass advected on cold sea surface. And the last is the frontal fog caused by the supply of enough vapor due to the movement of low-pressure system and the advection of cold air behind a cold front. While, we simulate the sea fog for the period of the case studies by implementing fog prediction system(DUT-METRI) that makes it possible to forecast the fog in the vertical section of neighborhood of the East Sea and to predict the sea surface wind, relative humidity, ceiling height, visibility etc. Finally we verified this result by satellite image.

동해안에서 지난 20년 동안 발생한 월별 안개 발생빈도와 지속시간 분석에 의하면 1월, 2월, 11월, 12월의 안개 발생빈도는 거의 전무함을 알 수 있다. 이 현상은 태백산맥으로부터 동쪽으로 경사를 이루어 복사 안개의 발생이 어려운 지형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반면에 안개발생빈도의 90%이상을 차지하는 봄, 여름철의 안개 발생 원인은 크게 3가지로 분류된다. 첫 번째는 증기해무로서 오호츠크해 고기압의 확장으로 찬 북동기류가 동해상으로 이류하여 발생한다. 두 번째는 이류해무로서 따뜻한 기단이 상대적으로 찬 해수면 위로 이류하여 냉각, 포화되어 발생한다. 세 번째는 전선해무로써 저기압이 동해상으로 이동하여 수증기가 공급된 상태에서 한랭 전선 후면의 찬공기가 이류하면서 발생한다 한편, 해상풍, 상대습도, 운저고도, 시정 등의 예측과 동해 해역의 수직단면에서 안개 예측이 가능한 해무예측시스템(DUT-METRI)을 구축하여 사례기간의 해무를 모사하였, 위성자료로부터 이를 검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영종도(인천공항) 주변해역의 해무예측연구(Ⅰ) 기상연구소
  2. 한국기상학회지 v.6 한국 안개 기후구 설정에 관하여. 김성삼;이내영
  3. 한국기상학회지 v.33 초여름 한반도 동해안의 해무 발생에 관한 수치실험. 김해동
  4. 한국기상학회지 v.33 동해 및 주변에서 발생하는 해무의 특성과 예측 가능성 조사 변희룡;이동규;이화운
  5. J. of Appl. Meteor. v.39 Sea Fog around the Korean Peninsula. Cho, Y.K.;M. O. Kim:B. C. Kim https://doi.org/10.1175/1520-0450(2000)039<2473:SFATKP>2.0.CO;2
  6. M. S. Thesis, The Pennsylvainia State University Development of a higher-order, fog-producing boundary layer model sutiable for in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Gayno, G.A.
  7. Mon. Wea. Rev. v.121 Prognostic Evalution of Assumptions Used by Cumulus Parameterization. Grell G. A.
  8. J. Meteor. Soc. Japan. v.74 Multi-scale features of the cold air outbrdak over Japan sea the Northwestern Pacific. Ninomiya K.;J. Fujinori;T. Akiyama
  9. J. Meteor. Soc. Japan. v.76 A Case Study of Fogs at Misawa Fishing Port Tomine K.;T. Kawagata;T. Setoguchi
  10. International meteorological vocabulary. WM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