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ummer Benthic Environmental Conditions Assessed by the Functional Groups of Macrobenthic Fauna in G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저서동물에 의한 여름철 광양만의 저서환경 상태파악

  • 최진우 (한국해양연구원 남해연구소) ;
  • 현상민 (한국해양연구원 남해연구소) ;
  • 장만 (한국해양연구원 남해연구소)
  • Published : 2003.06.01

Abstract

The spatial distributional pattern of macrobenthic fauna was investigated to assess the summer benthic environmental conditions in Gwangyang Bay, the southern coast of Korea. The macrobenthic faunal community from 38 sites in Gwangyang Bay comprised 154 species and showed an overall mean density of 1,280 individuals $m^{-2}$. Polychaetes were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of the macrofaunal community in species richness, abundance and biomass. The dominant species in abundance were polychaetes like Tharyx sp. (44.8%), Lumbrineris longifolia (14.0%), Heteromastus filiformis (3.6%), a mussel Mytilus edulis, and an amphipod crustacean Corophium sinense. The abundance and biomass in the western part of the bay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channel regions and mouth of the bay. The community indices showed the same trend in the spatial distribution with the abundance and species richness. All macrobenthic faunas were assigned into a specific functional group according to their ecological responses to the environmental stress. The benthic community health based on the Benthic Pollution Index (BPI) or Biotic Coefficient (BC) seemed to be in the normal to unbalanced er transitional condition, indicated by the dominance of small polychaete worms like Tharyx sp. in the mouth part of the bay.

여름철 광양만의 저서환경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2001년 6뭘 광양만의 38개 조사정점에서 대형저서동물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총 154종 이었고, 다모류가 출현종수와 개체수에서 가장 우점한 동물분류군이었다. 다모류의 Tharyx sp.(44.8%),Lumbrineris longifolia (14.0%), 이매패류의 Mytilus edulis (6.5%), 단각류의 Corophium sinense (4.5%), 다모류의 Heteromastus filiformis(3.6%), Sigambra tentaculata (1.7%)등이 주요 우점종이었다. 광양만의 묘도 서쪽에 위치한 정점들에서 종수와 개체수가 적었고, 광양만의 주수로역에서 풍부한 생물상을 보였다. 저서오염지수 (BPI)와 생물계수(BC)에 의한 저서군집의 건강도지수서는 주수로역의 일부 정점을 제외한 전 정점이 현재 정상상태 또는 약간 오염된 상태에 있었고, 광양만 입구 지역에서는 유기물오염에 잘 적응한 다모류의 대량 출현이 있어서 유기물 오염의 징후로 보여 향후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동식물도감 v.14 동물편(집게, 게) 김훈수
  2. 한국수산학회지 v.28 no.5 득량만의 저서동물 분포 마채우;홍성윤;임현식
  3. 한국동식물도감 v.31 동물편(갯지렁이) 백의인
  4. 연안 저서환경 건강평가 기술 해양환경감시 평가감시 서울대학교
  5. 한국해양학회지 v.30 no.4 가막만의 다모류군집 신현출
  6. 한국해양학회지 v.25 no.4 광양만 다모류군집의 시 · 공간적 변화 신현출;고철환
  7. 한국해양학회지「바다」 v.7 no.1 득량만 저서다모류군집의 공간분포 신현출;김용현
  8. 한국수산학회지 v.30 no.5 인천연안역 저서동물의 종조성을 이용한 환경평가 이재학;고병설;박흥식
  9. 한국해양학회지「바다」 v.4 no.1 남해 앵강만 조하대 연성저질 저서동물 군집 임현식;박홍식;최진우;제종길
  10. 한국수산학회지 v.34 no.3 남해안 소리도 주변 연성저질 해역의 저서동물 분포 임현식;최진우
  11. 한국수산학회지 v.27 no.5 해양저서동물군집을 이용한 진해만의 환경평가. 종별 개체수 분포특성에 따른 그래프분석기법의 적용 임현식;홍재상
  12. 인하대학교 이학박사학위청구논문 연안해역 개발에 따른 해양 저서생태계의 장기변동 연구 정래홍
  13. 한국해양학회지 v.30 no.5 광양만 조하대의 두 다모류 군집 구조의 시간에 따른 변화 정래홍;홍재상;이재학
  14. 한국수산학회지 v.30 no.5 광양제철소 건설을 위한 매립과 준설공사 기간 중 저서 다모류 군집의 공간 및 계절변화 정래홍;홍재상;이재학
  15. 해양환경 관리기술. 해양 저서생물상에 의한 환경평가 v.9-4-1 한국해양연구소
  16. BSPG98292-00-1196-3 연안어장 환경모니터링 기법 개발 한국해양연구소
  17. BSPE 819-00-1407-7 남해 특별관리해역의 환경오염 관리모델 연구(Ⅰ)광양만 중심 연구 한국해양연구원
  18. 한국환경과학회지 v.11 no.3 외나도로 주변해역 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과 저서생물상 현상민;최진우;신경순;장만
  19. Mar. Pollut. Bull. v.40 no.12 A marine biotic index to establish the ecological quality of soft-bottom benthos within European estuarine and coastal environments Borja,A.;J.Franco;V.Perez https://doi.org/10.1016/S0025-326X(00)00061-8
  20. Sci. Total Environ. v.97-98 The Sediment Quality Triad approach to determining pollution-induced degradation Chapman,P.M. https://doi.org/10.1016/0048-9697(90)90277-2
  21. Mar. Ecol. Prog. Ser. v.37 no.1 Synoptic measures of sediment contamination, toxicity and infaunal commubity composition(the Sediment Quality Triad)in San Francisco Bay Chapman,P.M.;E.R.Long;R.N.Dexter https://doi.org/10.3354/meps037075
  22. J. Oceanol. Soc. Korea v.19 A study on the polychaete community in K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Choi,J.W.;C.H.Koh
  23. General Systematics v.3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Margalef,R.
  24. J. Theoret. Biol. v.13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s Pielou,E.C. https://doi.org/10.1016/0022-5193(66)90013-0
  25. Statistical Ecology Diversity indices Shannon,C.E.;W.Weaver;Ludwig,J.A.(ed.);J.F.Reynolds(ed.)
  26. Coastal water research Project. Annual Report The infaunal trophic index Word,J.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