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lthough university libraries run by the subject-oriented serviec systems are increasing more and more, many problems are emerging as a result of tying out the subject classification of the sources without an enough advance knowledge, consideration of reality, and the study about effective management of subject-oriented sum system. Through the research of 37 university libraries run by the system of subject-oriented service, it was proved that for the effective subject-oriented service system, the reasonable classification of the subjects, considering the form and structure of the building, the number of users on each subject and the organization of the collection, and the subject librarians, who would take charge of subject-oriented service systems are indispensable. Therefore, the subject-oriented service system to be rooted strongly, the role model of the subject-oriented service system adequate to the reality of Korean university libraries should be developed, and the efforts of the people on the spot such as acquiring enough supports and training of the subject librarians should be arranged.
주제별조직 형태로 운영되는 대학도서관이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충분한 사전 작업과 현실적 고려 그리고 효과적인 주제별 운영에 대한 연구 없이 자료의 주제 구분만을 시도한 결과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주제별조직체제로 운영되고 있는 37개 대학도서관을 조사한 결과 효율적인 주제별조직을 위해서는 건물의 구조 및 형태ㆍ각각의 주제별 이용자 수ㆍ장서구성 등을 고려한 합리적 주제구분과 함께 주제별조직을 담당할 인력 즉, 주제사서의 확보가 필수적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주제별조직 체제가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국내 대학도서관 현실에 적합한 주제별조직 모형이 개발되어질 필요성이 있으며 대학도서관 현장에서의 노력 즉, 충분한 지원의 확보와 주제사서의 양성ㆍ확보 방안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