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With the rapidly evolving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the Internet, a network-based storage management system is required that can efficiently save, search, modify, and manage digital contents which are increasing by geometric progression. Recently, the SAN became highlighted as a solution to such issues as the integrated data management for heterogeneous systems,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storage systems, and the limitation of data transfer. SAN allows for effective management and sharing of bulk data by directly connecting the storage systems, which used to be independently connected to servers, to the high-speed networks such as optical channels. In this study, I researched on the technologies, standardization and market trends of storage management systems, and performed comparative analyses of the structures, components, and performances for achieving the integration of diverse system storage systems as well as the virtualization of storage systems.
정보기술과 인터넷의 진화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디지털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저장, 검색, 변경, 관리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반 저장관리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분산 네트워크 환경하에 이 기종 시스템의 데이터 통합관리, 저장 장치의 효과적인 활용, 데이터 전송 한계 등의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SAN이 대두되었다. SAN은 개별적으로 서버에 연결되던 저장장치들을 광 채널과 같은 고속네트워크에 직접 연결시켜 대용량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이다. 본 연구는 저장관리시스템의 기술과 표준화 및 시장동향 조사와 다중 시스템 저장장치의 통합과 저장장치의 가상화를 이루기 위한 구조와 구성장치 및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