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Frequently Consumed Dishes and Menu Patterns of Middle-aged Housewives for 1 Year

중년 주부의 연중 음식 섭취 및 식단 패턴 조사

  • 최정숙 (농촌진흥청 농촌생활연구소)
  • Published : 2003.07.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shes and menu patterns consumed frequently for 1 year, using estimated record method with 30 housew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dishes and menu pattern for the basis data of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nd menu development project. The results were following : cooked rice and kimchi had the highest number of frequencies. The dish group (classified by the cooking method) consumed in largest quantities per capita per meal is the rice group (146.5g). Most frequently consumed dish group were the rice (72.7%), kimchi (60.6%), beverages (33.6%), fruits and juice (26.2%), soup (25.1%), stew and casserole (25.1%) in the order. Some dishes in several dish groups had small number of frequencies. Thus they were not included in the frequently consumed dishes list although they are in the top list of their own dish group. The menu had traditional menu pattern based on cooked rice, Korean soup, and kimchi. Most frequently used menu patterns were rice+soup+kimchi, rice+noodle (or Mandu)+kimchi, rice+kimchi, rice+soup+kimchi+seasoned-vegetable in the order. These were very simple menu patterns with only 1~2 kinds of side dish.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middle-aged housewives to consume menu that the composition of main dish and side dish are adequate. This resul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in middle-aged housewives.

본 연구는 주부(30~59세) 30명을 대상으로 하여 추정량기록법으로 연중 음식 및 식단 패턴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섭취 빈도를 기준으로 살펴본 상용 음식은 4계절 모두에서 쌀밥, 배추김치, 열무김치, 커피, 김구이, 된장찌개 등이었고, 음식군별 섭취빈도는 밥류, 김치류, 음료류, 과일 및 주스류, 국 및 탕류, 찌개류, 나물 및 무침류 순으로 섭취를 하고 있었다. 앞선 모든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의 주요 식생활의 패턴인 밥을 주식으로 하는 전통 식생활을 보여 주고 있다. 음식 군별 섭취량을 보면 국.탕류, 찌개류는 가을, 겨울에, 전.부침류는 원료가 되는 채소류 등 농산물이 많이 생산되는 여름에 가장 많이 섭취하였다. 나물 무침류는 겨울에 가장 많이 섭취하였고 김치류는 4계절 모두 많이 섭취하고 있었다. 가장 자주 섭취한 음식 군은 밥류, 김치류, 음료류, 과일 및 주스류, 국 및 탕류 순이었다. 음식 군별 다빈도 음식을 살펴보면 밥류의 경우 모든 계절에서 쌀밥의 섭취 빈도가 다른 종류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면.만두류의 경우 모든 계절에서 라면을 가장 많이 섭취하고 있었다. 국.탕류의 경우 봄, 여름, 겨울에서는 미역국, 가을은 배추된장국이었다. 찌개류는 봄과 여름, 겨울에서 된장찌개, 가을의 경우 김치찌개 등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계란찜은 모든 계절에서 섭취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구이류의 경우 김구이가 4계절 모두 1위를 보여주어 가장 많이 먹는 구이류임을 보여 주었다. 전.부침류의 섭취 빈도는 사계절 모두 계란 후라이가 1순위를 차지하였고, 볶음류의 경우 멸치볶음이 4계절 모두 가장 섭취 빈도가 높았고, 조림류는 봄의 경우 콩조림, 여름은 깻잎조림 , 가을과 겨울은 고등어조림을 자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물.무침류는 봄은 취나물, 여름은 콩나물, 가을은 무생채, 겨울은 시금치나물, 김치류는 4계절 모두 배추김치가 섭취 빈도가 높았고, 열무김치와 깍두기, 총각김치도 모든 계절에서 섭취 빈도가 높았다. 조사 대상자들이 가장 많이 섭취하는 상위 10위 권에 드는 대부분의 식단이 밥과 반찬으로 이루어진 식단이었다. 봄.여름.가을 겨울 모두 가장 많이 사용한 식단의 형태는 밥+국+김치로 각각 그 비율이 6.84%, 6.10%, 7.18%, 6.84%이었다. 2위는 봄이 밥+김치(5.56%)인 반면, 나머지 여름, 가을, 겨울은 면(만두)+김치형태였다. 본 연구는 조사 대상수가 다소 적다는 점이 있지만, 식사를 직접 준비하는 주부가 기록하였고 지금까지의 단기간 조사의 단점을 보완한 365일의 식품 및 음식섭취 자료라는 점에서 의미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Poleman CM, Peckenpaugh NJ. 1991. Nutrition; Essentialsand Diet Therapy. 6th ed. W.B. Saunders Comp, New York
  2. Kye SH, Lee HS, Park MA, Moon HK. 1996. The study onfrequently consumed food items from 1993 Korean nationalnutrition survey (Ⅱ) -Amounts and frequency of dishes intakes-. Korean J Dietary Culture 11: 581-592
  3. Han KS, Yoon SS. 1987. Study on daily meal pattern of Korean families. J Korean Home Economics 25: 69-77
  4. Hur IY, Moon HK. 2001. A stduy on the menu patterns of residents in Kangbukgu (Ⅱ) -Compared by the sex age and health risk-.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6: 809-818
  5. Moon HK, Lee SS, Kim JY, Park SY, Han gj, Paik HY, Jung GJ. 2001. The study on menu patterns in Korean rural areas (Ⅰ) -Analysis of major menu pattern-. Korean J Nutrition 34: 936-945
  6. Moon HK, Lee SS, Lee JS, Park SY. 2002. The study of menu patterns in Korean rural areas (Ⅱ) -Compared by the area-. Korean J Nutr 35: 658-667
  7. Moon HK, Chung HR, Cho EY. 1994. Analysis of menu patterns from the Korean national nutrition survey in 1990. Korean J Dietary Culture 9: 241-250
  8.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0. Dietary Risk Assessment on Heavy Metals in Korean Foods
  9. 김영옥. 2001.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쌀소비 확대를 위한 대국민 홍보 심포지엄 자료집'
  10. Lee SY. 1997. Assessment of dietary intake and diet quality obtained by 24-hour recall method in Korean adults living in rural area.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11. Shim JE. 2000. Analysis of dietary intake and development of balanced diet index among different age groups in Korea.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12. Kim SY, Jung KA, Lee BK, Chang UK. 1997. A study of the dietary intake status and one portion size of commonly consumed food and dishes in Korean elderly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 578-592
  13. Atman DG. 1991. Practical statistics for medical research. Chapman & Hall, New York
  14. 대한영양사회. 1999. 사진으로 보는 음식의 눈대중량
  15. 한국식품공업협회 식품연구소. 1988. 식품섭취 실태조사를 위한 식품 및 음식의 눈대중량
  16. 한국영양학회 부설 영양정보센타. 1998. 음식 영양소 함량 자료집
  17. Jang HS, Kwon CS. 1995. A study on the nutritional knowledge, food habits, food preferences and nutrient intakes of urban middle-aged women. Korean J Dietary Culture 10: 227-233
  18. Park SY. 1998. Frequently consumed dishes and their recipes in Korean rural areas.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9. Kim ES. 1995. A study of Korean traditional food in Kang Won Do (Ⅰ). Korean J Soc Food Sci 11: 342-350

Cited by

  1. Validation of Trienzyme Extraction-Microplate Assay for Folate in Korean Ancestral Rite Food vol.44, pp.5, 2015, https://doi.org/10.3746/jkfn.2015.44.5.716
  2. A Survey on the Preferences and Recognition of Multigrain Rice by Adding Grains and Legumes vol.41, pp.6, 2012, https://doi.org/10.3746/jkfn.2012.41.6.853
  3. Seasonal Variation of Food Intake in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mong Workers in a Nuclear Power Plant vol.40, pp.3, 2007, https://doi.org/10.3961/jpmph.2007.40.3.239
  4. Various biogenic amines in Doenjang and changes in concentration depending on boiling and roasting vol.60, pp.3, 2017, https://doi.org/10.1007/s13765-017-0277-9
  5. β-Carotene and Retinol Contents in Bap, Guk (Tang) and Jjigae of Eat-out Korean Foods vol.42, pp.12, 2013, https://doi.org/10.3746/jkfn.2013.42.12.1958
  6. 일부 중학생들의 학교 급식 국물음식섭취 행태에 따른 나트륨 섭취 현황 분석 vol.31, pp.6, 2018, https://doi.org/10.9799/ksfan.2018.31.6.8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