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reeding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Gopoong, a New Variety of Panax ginseng C.A. Meyer.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신품종 고풍의 육성경과 및 생육특성

  • Published : 2003.06.01

Abstract

To develop a new ginseng variety with good quality and high yielding, a lot of individual ginseng plant were selected in the farmers'fields in 1968. Among them, a promising line,680-83-4, has been developed through comparative cultivation of several lines selected with pure line separation from local races in KT&C Central Research Institute, preliminary and advanced yield trials were performed fir 8 years.680-83-4 was designated as KG103, which was then registered as a new variety “Gopoong” with the regional yield and adaptation trials for 10 years (1981-1990) on December 27,2000 in Korea. Gopoong has different phenotype of a dark violet stem and dark red fruit and inverted triangle shape of berries cluster as compared with other varieties. Taproot of Gopoong was longer than local race Jakyungjong, and root yield was 4.5% higher than local race Jakyungjong. In red ginseng quality, the rates of Chun-Jeesam grade(Chun and Jee means 1 st and 2nd grade, respectively) were 16.6% and 9.4% for Gopoong and Jakyungjong, respectively. In these results, it was that Gopoong was superior ginseng line with good quality far manufacture of red ginseng.

KT&G 중앙연구원 원료연구소에서 육성한 신품종 고풍에 대해서 육성경과, 생산력 검정 및 지역 적응시험을 수행하였다. 1968년에 선발하여 20년 이상 육성된 고풍은 줄기, 잎자루, 꽃대 및 잎맥부위까지도 진한 자색을 띤다. 열매송이 모양은 역삼각형이며 진한 붉은 색으로 재래혼계종인 자경종이나 기개발된 천풍 및 연풍과 지상부 표현형에서의 차이를 나타내었 다. 1981-1984년에 실시한 생산력 검정시험이나 1985-1990년에 실시한 지역적응력시험에서 대비구인 재래혼계종인 자경종과의 지상부 생육 제반 특성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유전적 특성의 발현 재현성이 있었다. 지하부 형질에서는 고풍의 생존율이 대비구인 자경종보다 2.6% 높았고, 고풍의 칸당 수량은 2.3 kg으로 자경종 2.2 kg보다 0.1 kg이 높았으며, 고급홍삼인 천지삼율은 고풍은 16.6%로 대비구인 자경종 9.4%보다 7.2%가 더 높았다. 따라서 고풍은 고급 홍삼제조용 원료삼 품종으로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명구, 정찬문, 권우생, 이장호, 정열영, 강제용, 심명수, 최광태 : 한국인삼연초연구원 인삼연구보고서 (재배분야) p. 420 (1995)
  2. 한국담배인삼공사 : 수삼 수매실적 분석평가, 한국인삼공사, 대전, (1997; 1999; 2001)
  3. 권우생, 이명구, 이장호 : 고려인삼학회지 25, 41 (2001)
  4. 최광태, 안상득, 신희석 : 고려인삼연구소 인삼연구보고서 p. 269, 341 (1979)
  5. 최광태, 안상득, 박규진, 천성룡, 김홍진 : 한국인삼연초연구소 얀삼연구보고서 (재배분야) p. 259 (1982)
  6. 최광태, 안상득, 천성룡, 권우생, 김홍진 : 한국인삼연초연구소 인삼연구보고서(재배분야) p. 1 (1983)
  7. 안상득, 천성룡, 정찬문, 권우생, 정영륜, 조천준 : 한댄인삼연초연구소 인삼연구보고서(재배분야) p. 1 (1984)
  8. 안상득, 천성룡, 정찬문, 권우생, 김대송, 이순구, 남기열 : 한국인삼연초연구소 인삼연구보고서(재배분야) p. 59 (1985)
  9. 김요태, 안상득, 천성룡, 정찬문, 권우생, 남기열 : 현F국인삼연초연구소 인삼연구보고서(재배분야) p. 905 (1986)
  10. 김요태, 안상득, 천성룡, 정찬문, 권우생, 남기열 : 한f국인삼연초연구소 인삼연구보고서 (재배분야. 환경 . 육종편) p. 495 (1987)
  11. 김요태, 천성룡, 정찬문, 권우생 : 한국인삼면초연구소 인삼연구보고서(재배분야. 환경. 육종 편) p. 295 (1988)
  12. 최광태, 정찬문, 권우생, 이장호, 정열영, 강제용, 한종구 : 한국인삼연초연구소 인삼연구보고서(재배분야) p. 5 (1991)
  13. 이명구, 이성식, 권우생, 이장호, 정열영, 강제용, 한종구, 정찬문, 최광태 : 한국인삼연초연구원 인삼연구보고서(재배분야)p. 419 (1998)
  14. 권우생, 이명구, 이장호 : 고려인삼학회지 25, 41 (2001)
  15. 권우생, 이장호, 강제용, 김요태, 최광태 : 한국육종학회지 26, 400 (1994)
  16. 권우생, 정찬문, 김요태, 최광태 : 한국육종학회지 23, 221 (1991)
  17. 권우생, 정찬문, 김요태, 이명구, 최광태 : 고려인삼학회지 22, 11 (1998)
  18. 권우생, 정찬문, 김요태, 이명구, 최광태 : 고려인삼학회지 22, 244 (1998)
  19. 권우생, 이명구, 최광태 : 고려인삼학회지 24, 1 (2000)

Cited by

  1. intron 4 region vol.20, pp.2-3, 2009, https://doi.org/10.1080/19401730902856738
  2. CAPS markers using mitochondrial consensus primers for molecular identification of Panax species and Korean ginseng cultivars (Panax ginseng C. A. Meyer) vol.39, pp.1, 2012, https://doi.org/10.1007/s11033-011-0792-4
  3.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Chinese ginseng accessions using SSR markers vol.44, pp.3, 2017, https://doi.org/10.5010/JPB.2017.44.3.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