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ㆍ가정교과 운영실태와 평가 -경남지역 소재 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Operation of Technology.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Middle and High Schools in Kyungnam Area

  • 김상희 (경남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 발행 : 2003.09.01

초록

본 연구는 경남지역의 중 고등학교에서 기술ㆍ가정교과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기술ㆍ가정교과의 운영과 교과내용 및 목표의 적합성 평가, 교과내용의 전문성 및 활용도 평가에 대하여 2002년 10월 16일부터 30일까지 235부를 우편조사 하였다. 기술ㆍ가정교과 담당교사의 주전공은 가정교과가 기술ㆍ산업교과보다 2배 가량 많았으며, 수업의 운영은 분담수업이 전담수업보다는 다소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었으나, 중학교에서는 고등학교에 비하여 전담수업 비율이 높았다. 실습수업에서 내용에 있어서는 중$.$고등학교에 큰 차이가 없으나 빈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중학교에 비하여 고등학교의 실습빈도가 적었으며, 특히 기술교과 영역은 1회도 없는 경우가 30%가까이 되었다. 수업시의 애로사항 등에서 교과자체의 수업시수의 부족이나 실습시간의 부족 등이 가장 큰 어려움으로 나타났는데, 교사의 주전공이나 수업방식에 따라 애로사항의 순위에 차이가 있었다. 즉 기술교과 교사들이 가정교과 교사들보다 실습실이나 실습도구 등의 부족을 거론하고 있었고, 전담수업이 분담수업에 비하여 교과의 전문지식 부족을 거론하고 있었다. 교과내용과 목표의 적합성 평가는 대체로 보통수준을 유지하는 정도였으나, 교과내용의 진로교육 측면 기술ㆍ가정교과의 상호연계성 측면에서는 상당히 낮은 평가를 보여 통합교과로서의 위상이 심각하게 낮게 평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진로교육적 측면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요구되는 바이다. 교과내용의 전문성 및 활용도 평가에서 자신의 전공영역에 대하여는 높은 전문성과 활용도를 가지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으나 타 전공영역에 대하여는 낮은 인식을 보이고 있어서 전담수업을 할 경우 수업의 질에 많은 어려움이 예상되었다. 컴퓨터영역은 각각의 교사가 나름대로의 전문성과 가장 높은 활용도를 평가하고 있어서 기술교과와 가정교과 영역을 매개하는 측면을 가지고 있다고 보여진다. 앞으로 8차 교육과정의 개정에서 기술ㆍ가정교과는 수업시수가 축소되더라도 분리할 것인지, 축소된다면 현행의 통합을 유지할 것인지에 대하여 조사대상교사들의 태도는 반반이었다. 분리 시 요구되는 수업시수는 주당 각각 2시간이 가장 많았는데, 각각 주당 2시간의 수업시수는 하나의 교과목으로서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시수로 보여진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술ㆍ가정교과가 제대로 정체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분리되어 독립교과가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결론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교윽적 여건이 그러하지 못하다면 통합교과로서의 체계성이나 담당교사들의 확실한 보충교육, 충실한 실습수업이 될 수 있는 여건의 조성, 교사들의 수업 질 제고를 위한 다양한 각도에서의 노력 등이 함께 어우러져야만 기술ㆍ가정교과가 바로 설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subject matters and goals, and to know the operation of Technology·Home Economics of middle and high schools in Kyungnam area. Data were collected from 235 teachers with the questionnaire by mail. The results were following; 1. The major of teachers was Technology·Industry 30.6%, Home Economics 67.2%. The teaching style was the team-teaching 51.1%, one's responsible teaching 41.3%. The team-teaching was operated more frequently in high schools than middle schools. The most difficulties were the shortage of subject's hours, the shortage of practice hours, etc. 2. The overall evaluation of subject's matters and goals were about middle levels. but the items of the job-course education and the interrelatednes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were a little low levels. 3. The speciality and the utility of the subject's matters were evaluated highly oneself for one's major, but those of different major were lowly so. The sector of Computer was shared commonly with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achers. 4. The attitudes toward the separation or integration of Technology·Home Economics in the 8th curriculum revision were half and half. If Technology·Home Economics will be separated, each subject need 2 hours per week.

키워드

참고문헌

  1. 대한가정학회지 v.40 no.7 『기술 · 가정』 교과운영에 대한 교사, 학교장,교육전문직의 인식과 요구 곽노선;조재순
  2.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교육부
  3. 고등학교 교육과정(Ⅰ) 교육부
  4.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Ⅲ) 교육부
  5. 대한가정학회지 v.39 no.11 중학교 가정과 교사와 기술과 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교육과정 관점에 관한 연구 박명주;유태명
  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12 no.3 한국과 일본의 실과 및 기술·가정과 교육의 역사적 변천비교 박순자;신상옥
  7.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기술·가정 통합교과 내용구성에 대한 인식도 조사­서울시내 중하교 학생과 교사를 중심으로 ­ 박인애
  8. 지식기반사회에서의 기술교육의 방향 중학교 남녀학생들의 기술수업에 대한 인식차이 송일민;최유현
  9.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운영 형태와 관련 만족도 손순옥
  10.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기술·가정>통합 운영에 따른 중학교 기술과 가정과 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양순분
  11. 경남대학교 교육이론과 실천 v.6 6차 교육과정 시행에 따른 가정과 교사의 의식 오화자(외)
  12. 대한가정학회지 v.41 no.1 7차 교육과정의 학교소비자 교육내용 분석­중학교 1.2학년 「기술·가정」을 중심으로 이승신;김민경;조정자
  13. 가정과 교육의 이론과 실제 이연숙
  1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14 no.2 『기술·가정』교과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 이연숙;조재순;곽노선
  15.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중학교 기술·가정 통합교과에 대한 학보모와 학생의 태도분석 채정숙
  16. 개발답신보고서 제 5차 교육과정 총론 개정시안의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7. 한국 가정과 교육학회지 v.13 no.1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기술·가정교과 설정의 배경 허경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