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Consumers′ Preference on the Brand Rice

브랜드 쌀에 대한 소비자 선호요인 분석

  • 이순석 (농촌진흥청 농업경영정보관실) ;
  • 이상덕 (국제협력담당관실) ;
  • 김용희 (농촌진흥청 농업경영정보관실)
  • Published : 2003.09.01

Abstract

This aims is to estimate the consumers' preference on the brand rice using factor analysis, completed research on the consumption of brand rice revealed that the household supply in the Seoul area is increasing. An analysis whether housewives' preference in chosing the brand of rice was developed through the consumption experience and re-purchase intention investigation for the brand rice. Also the paper analyzed the consumers' preference using the logit and probit model. Number of respon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95 %) totaled 1000 and the sampling method utilized was the multistage stratification and assignment abstraction. Results showed that the preference of housewives' depends on age, education and level of income. Such that as age, education, income level increase so thus their preference for brand rices also increase. Also the re-purchasing of brand rice is high when housewives have a higher educational attainment and prefers to go to work. Conclusively, the long-term sale view for brand rice is closely related to the economic conditions of a household. Hence, with the economic growth, there is a possibility that consumption of brand rice would increase compared to the ordinary rice. We can propose the following political intent from analysis of these results. First,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public information as reinforcement for brand rice. Second, Marketing operation reinforcement could also be done for customer class security etc.

본 연구는 쌀에 대한 구입비율이 높을 것으로 추측되는 서울지역 주부를 대상으로 최근 공급이 증가하고 있는 브랜드 쌀에 대한 소비측면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요한 분석 목적은 브랜드 쌀에 대한 소비경험 띤 재구매 의향 조사를 통하여 주부들의 어떠한 특성요인이 브랜드 쌀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것이다. 분석결과 브랜드 쌀에 대한 주부들의 선호는 고소득 가구, 연령이 높은 계층, 고학력, 아파트 거주 주부들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 쌀에 대한 재구매 의향은 고학력, 취업한 주부일수록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브랜드 쌀에 대한 장기적 판매전망은 가계의 경제사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될 수 있으며, 경제성장과 더불어 브랜드 쌀에 대한 소비는 일반 쌀보다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추론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농림부 (2001), '쌀 브랜드 현황'
  2. 김충실, 이순석 (1995) 대구지역 주민의 수입농산물 소비의향과 UR대응 홍보전략 연구, 농업정책연구, 22, 67-92
  3. 조재환, 김태균 (2002) 일본 소비자의 신선딸기 원산지별 선호분석, 농업경영. 정책연구, 29, 577-590
  4. 최세현 (2003) 경남 시설원예 수출 농업인의 정보수요분석, 농업경영 . 정책연구, 30, 284-305
  5. 농업진흥청 (2003) '쌀 품질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 분석'
  6. 김충실, 김태균 (1993) 무역개방시대의 소비자의향과 수입 및 국산농산물 수요 예측, '93년 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한국농업경제학회, 87-123
  7. Lancaster, Kelvin (1966) A new approach to consumer theory,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7.
  8. Lerman, S. (1975) A disaggregate behavior model of urban mobility decision, Ph. D. Dissertation, M.I.T
  9. Shin Jung-Chul (1985) Residental location choice, Ph. D. Dissertation, Stanford University
  10. Amemiya, Takeshi (1981) Qualitative response models: A survey,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vol 29,
  11. Maddala, G. S., (1983) Limited-Dependent and Qualitative Variables in Econometrics, Econometric Society Monographs No.3,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pindyck, R.S., and Rubinfeld, D.L., (1981) rEconometric models and economic forecastsl Mcgrawhill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