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Do Korean Elderly Women Adapt to Old Age?:Themes and Sources of Meaning in Their Later Lives from Life Stories

한국여성노인들의 노년에 적응과 노년기 삶의 모습에 대한 질적 연구

  • 강유진 (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 Published : 2003.03.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makes the elderly women resilient in old age and how they reconstruct their later lives. This study used life histories extracted from tape-recorded interviews of 13 elderly women and analyzed key issues focused on how to adapt in old age. Main results are following: First, emerging themes to maintain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are related to both informants' inner and outer life worlds; subjective reinterpretation of life, feeling rich, family, social activities, overcoming social stigma. With supporting and supplementing one another, these five dimensions are important contributors to better later life. Second, where my informants search for meaning of life in old age is the critical clue of understanding the later life styles. Some of them are still searching meaning of life in roles as a ‘mother’, while others are finding their sense of worth outside the family or in themselve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elderly are interacting with themselves and their surroundings in adapting to old age and different tie styles according to different sources of life satisfaction manifest the changes among the elderly and Korean society.

Keywords

References

  1. 고승덕(1995). 노인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추출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 김광억(1987). '한국사회연구와 인류학적 방법론'.김경동, 안청시 편. 한국사회 과학방법론의 탐색.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3. 김태현 외(1999). 노년기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II). 한국노년학, 19(1),61-81
  4. 노유자(1998). 서울지역 중년기 성인의 삶의 질에 관한 분석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 박은숙 외(1998). 노인의 삶의 질 예측모형 구축-건강관리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18(3), 37-61
  6. 심영희(1995). '동양의 전통사상과 한국적 여성철학의 전망'. 여성철학연구모임 역. 한국여성철학.서울: 한울, 9-23
  7. 양경희(1998). 노인의 건강신념과 건강관행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오경석(2002). 노인의 생성감과 인생이야기. 한국노년학 22(2), 113-129
  9. 유철인(1990). 해석인류학과 생애사. 제주도연구 7,105-117
  10. 유철인(1996). 어쩔 수 없이 미군과 결흔하게 되었다: 생애이야기의 주제와 서술 전략. 한국문화인류학 29(2), 397-419
  11. 이영희(1992). 한국 노인의 건강생활양식. 이화여대박사학위논문
  12. 엄춘식(2001). 고령화 사회의 도전. 서울: 나남출판사
  13. 장혜경(1998). 한국 노인의 안녕척도 개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조성남(2001). '노인의 건강과 가족'. 김두섭 편. 변화하는 노인의 삶과 노인복지. 서울: 한양대학교 출판부
  15. 최영신(1999). 질적 자료 수집: 생애사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2(2), 1-12
  16. 최 헌(1997). 건강수준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Abelmann, N.(1997). Women's mobility and identities in South Korea: a gendered, transgenerational, narrative approach. The journal of Asian Studies, 56(2), 398-420 https://doi.org/10.2307/2646244
  18. Harris, D. K.(1998), Sociology of aging. 최신덕/김모란 역. 노년사회학 서울: 하나의학사
  19. Levinson, D. J.(1996). Seasons of a man's life. 김애순 역. 남자가 겪는 인생의 사계절. 서울: 이화여대출판부
  20. Rowe & Kahn(2001). Successful aging.. 최혜경, 권유경 역. 성공적 노화. 서울: 학지사
  21. Strauss & Corbin(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Newbury Park: SAGE
  22. Thompson, P.(1992), 'I don't feel old: subjective ageing and the search for meaning in later life'. Ageing and society, 12, 23-47 https://doi.org/10.1017/S0144686X00004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