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currence of Off-Odor and Distribution of Thermophilic Bacteria from Rice and Cooked Rice Stored at Electric Rice Cooker

쌀과 취반백미의 고온성 세균 분포 및 이상취 발생

  • 박석규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한국전통발효식품연구소) ;
  • 고용덕 (한국전통발효식품연구소) ;
  • 권선화 (한국전통발효식품연구소) ;
  • 손미예 (한국전통발효식품연구소) ;
  • 이상원 (한국전통발효식품연구소, 진주산업대학교 미생물공학과)
  • Published : 2003.03.01

Abstract

The distribution of mesophilic and thermophilic bacteria in milled rice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growing land and variety of rice. However, The number of these bacteria were abundant in milled rice of lower milling degree or longer storage period. The growth of thermophilic bacteria in cooked rice of electric rice cooker was rapidly increased during storage of lower temperature below 75 $^{\circ}C$. Thermophilic bacteria were not appeared just after cooking. After cooked rice was stored far 18∼24 hon thermophilic bacterial growth was rapidly increased by changing spore to vegetative cell.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cell number of thermophilic bacteria and occurrence of off-odor was slightly observed. The number of thermophilic bacteria in upper cooked rice of oven and was higher than those in inner and lower cooked rice. Major volatile compound of milled rice cooked and stored in electric rice cooker was hexanal oriented from rice. After long storage, it was confirmed that furan was major volatile compound as off-odor.

벼의 산지 및 품종별로는 중온 및 고온성 세균의 분포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도정도가 낮을수록 저장기간이 길수록 각각의 균들이 많이 존재하였다. 전기밥솥에서 고온성 세균의 증식은 75$^{\circ}C$이하에서 보온온도가 낮을수록 빠르게 나타났으며, 보온 초기에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18∼24시간 사이에 증식속도가 빨라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기밥솥 밥의 고온성 세균수와 이상취 발생의 상관성은 있었으며, 고온성 세균수는 오븐내 밥의 표면중앙이 중심이나 밑바닥에 비하여 약간 많게 나타났다. 백미밥의 휘발성 성분은 보온초기에는 쌀로부터 유래되는 hexanal이 주성분이었으며, 장시간보온 후는 이상취를 나타내는 furan을 포함한 고비점 물질이 많았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석규, 고용덕, 손미예, 서권일 (1997) 압력 취반 백미의 전기밥솥 보온중 노화도의 변화. 한국식품과학회지, 29, 705-709
  2. Isao, E., Shinjiro, C. and Tatsuo, T. (1978) Measurement of volatile carbonyl compounds in the vapor of cooked new rice and old rice. Rept. Natl. Food Res. Inst., 33, 1-6
  3. Yasunobu, T., Oyabu, H., Horiuchi, M. and Nakamura, K. (1995) Study on smell of cooked rice - Effects of steaming-start conditions on stale rice smell. National Technical Report, 41, 98-104
  4. 이영주, 민봉기, 신명곤, 성내경, 김광옥 (1993) 전기보온밥솥으로 보온한 쌀밥의 관능적 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25, 487-493
  5. 김종군, 황진선, 김우정 (1987) 쌀품종에 따른 쌀밥의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 연구. I. 저장중 쌀밥의 풍미 및 겉모양의 변화. 한국농화학회지, 30, 109-117
  6. 박석규, 고용덕, 조영숙, 손미예, 서권일 (1997) 전기밥솥으로 저온보온한 쌀밥의 이취발생 및 억제. 한국식품과학회지, 29, 919-924
  7. 박석규 (1996) 밥의 보온중 이취 및 변색의 원인분석에 따은 대책연구. 산학협혁 연구보고서, 7-10
  8. 우태종, 심우만, 조상준 (1986) 식품미생물학. 문용당, 서울, p.280
  9. Darland, G. and Brock, T.D. (1971) Bacillus acidocaldaricus sp. nov., an acidophilic, thermophilic spore-forming bacterium. J. Gen. Microbiol., 67, 9-14 https://doi.org/10.1099/00221287-67-1-9
  10. 최홍식 (1985) 취반중 쌀성분의 화학적 변화 및 휘발성 carbonyl성분의 생성. 한국영양식량학회지, 14, 61-66
  11. 이병영, 손중록, 윤인화, 松倉糊, 今井徹, 前川昭男 (1993) 참쌀밥의 주요 향기성분. 한국농화학회지, 36, 11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