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ctional Properties of Tea-fungus Beverage

Tea-fungus 발효음료의 기능성

  • 박찬성 (대구한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2003.06.01

Abstract

To develope tea-fungus beverage(TB), media added various kinds of ingredients including black tea, persimmon leave tea, pine needle, mugwort mycelia and fruiting body of Cordyceps spp. were prepared fur fermentation. Tea-fungus beverage(TB) was prepared with tea-fungus by fermentation for 2 weeks at 30 $^{\circ}C$. Functional properties of antibacterial activity,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were investigated in tea-fungus beverage(TB) and 5 times diluted tea-fungus beverage(DTB).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athogenic E. coli and S. aureus was excellent in TB added pine needle, mycelia and fruiting body of Cordyceps japonioa while no activity in TB added persimmon leave tea.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TB were ranged from 41% to 87% in TB and were ranged from 11% to 63% in DFB, high ability was in TB and DTB added pine needle and persimmon leave tea, while low ability in FB and DTB added mycelia and fruiting body of C. militaris. Nitrite scavenging ability was 63% in TB added black tea and 44% in TB added persimmon leave tea. Other ingredients added TB had weak nitrite scavenging ability.

기능성 발효음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홍차, 감잎차, 솔잎, 쑥, 눈꽃 동충하초와 번데기 동충하초의 균사체와 자실체를 부재료로 첨가한 배지에 tea-fungus를 접종하여 3$0^{\circ}C$에서 2주일간 발효시킨 tea-fungus 음료를 조제하였다. Tea-fungus 음료의 기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음료의 원액과 그 5배 희석액으로 나누어 항균활성, 항산화능과 아질산염소거능을 조사하였다. Tea-fungus 음료의 항균활성은 솔잎과 눈꽃동충하초의 균사체와 자실체를 첨가한 경우에 E. coli와 S. aureus에 대하여 모두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나 감잎차를 첨가한 음료는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Tea-fungus 음료의 5배 희석액은 두 균주 모두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음료의 전자공여능은 41-87%, 5배로 희석한 tea-fungus음료는 11-63%로서 솔잎과 감잎차를 첨가한 음료의 전자공여능이 높았고, 번데기동충하초의 균사체와 자실체를 첨가한 음료에서 낮았다. Tea-fungus 음료의 아질산염소거능홍차를 첨가한 음료에서 63%, 감잎차 44%로서 높았으며 다른 부재료를 첨가한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낮은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2001) 사망원인통계(http://www.nso.go.kr/cgi-bin/ sws_999.cgi)
  2. 강영주, 류근태, 김효선 (1996) 기능성 음료의 개발을 위한 갈조류 생세포액의 제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5, 94-103
  3. 배지현, 김기진, 김성미, 이원재, 이선장 (2000) 매실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개발. 한국식품과학회지, 32, 713-719
  4. 차월석, 김종균, 김종수 (2002) 청피와 모려를 이용한 기능성 건강음료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공학회지, 17
  5. 김우원 (2000) 동충하초 음료섭취가 호흡순환계 반웅 및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운동영양학회지, 4, 13-25
  6. 진효상, 최영순, 이경자 (2001) 유산균의 흔합배양에 의한 밤 발효음료의 제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14, 217-221
  7. 최미애, 정순경, 박찬성 (2002) 포도발효음료의 향미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추계 국제학술심포지움 발표초록집, 153-154
  8. 양정옥, 김정옥, 최미애 (1997) Tea fungus 발효음료의 섭취가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36, 234-242
  9. 양정옥, 유창재, 김정옥, 최미애 (1999) 스포츠음료 개발을 위한 Tea-fungus 발효음료의 활용. 한국체육학회지, 38, 277-293
  10. Reiss, J. (1994) Influence of different sugars on the metabolism of tea fungus. Levensum, Unter, Forsh, Springer-Verlag, 198, 258-261
  11. 박금순, 안상희, 최경호, 정지숙, 박찬성, 최미애 (2000) 기능성 발효음료 제조 및 관능적 특성. 한국조리과학회 지, 16, 663-669
  12. Uzogara, S.G., Agu, L.N. and and Uzogara, E.O. (1990) A review of traditional foods, condiments, and beverage inNigeria. Ecol. of Food and Nutr., 24, 267-288 https://doi.org/10.1080/03670244.1990.9991145
  13. Reiss, J. (1987) The tea fungus and its metabolic products. Deutche Livensmittel Rundschau, 83, 286-290
  14. Srinivasan, R., Smolinske, S. and Greenbaum, D. (1997)Probable gastrointestinal toxicity of Kombucha tea. J. Gen. Intern. Mrd., 12, 643-644 https://doi.org/10.1046/j.1525-1497.1997.07127.x
  15. Farag, R.S., Daw, J.Y., Hewedi, F.M. and El-Baroty, G.S.A. (1989)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Egyptian spice essential oils. J. Food Prot., 52, 665
  16.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https://doi.org/10.1038/1811199a0
  17. Gray, J.I. and Dugan, Jr. L.R. (1975) Inhibition of N-nitroso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s. J. Food. Sci, 40, 981-984 https://doi.org/10.1111/j.1365-2621.1975.tb02248.x
  18. 국주희, 마숭진, 박근형 (1997) 솔잎에서 항미생물 활성을 갖는 benzoic acid 의 분리 및 동정. 한국식품과학회지, 29, 204-210
  19. 박찬성, 권충정, 최미애, 박금순, 최경호 : 동충하초, 쑥및 솔잎의 항균작용.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9(1), 102-108(2002)
  20. 강윤한, 박용곤, 이기동 (1996) 페놀성 화합물의 아질산염 소거 및 전자공여 작용. 한국식품과학회지, 28, 232-239
  21. 부용출, 전체옥, 오지연 (1994) 솔잎으로부터 항산화 성분인 4-hydroxy-5-methy1-3[2H]-furanone의 분리. 한국농화학회지, 37, 310-314
  22. 박윤주, 강명희, 김종익, 박옥진, 이미숙, 장해동 (1995) 감잎의 처리방법과 추출조건에 따른 감잎차의 Vitamin C 와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활성의 변화. 한국식품과학회, 한국식품과학회지, 27, 281-285
  23. 박찬성, 권충정, 최미애, 박금순, 최경호 (2002) 동충하초의 항산화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9, 109-113
  24. 권상희, 우회종, 한대석, 감미경 (2001) 동충하초의 건분 및 물추출물이 횐쥐의 지방대사, 항산화 및 면역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양학회지, 34, 271-284
  25. 박찬성, 권충정, 최미애, 박금순, 최경호 (2002) 쑥과 솔잎의 항산화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9, 248-252
  26. 김선희, 박찬성 (2001) 담자균 추출물의 항균작용 및 항산화작용. 농산물저장유통학회지, 8, 118-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