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usal Factors of Black Stain during Cold Storage of Pear(Pyrus pyrifolia cv.Niitaka) and Its Postharvest Control

신고' 배 저온 저장중 발생하는 얼룩과 원인 및 방지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Causal factors related to the skin disorder such as black stains during cold storage of 'Niitaka' pear fruit are of great importance to solve the postharvest disorder problems. The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changes observe of pear skin affected by different harvest times and storage environments. Occurrence rate of black stain in 'Niitaka' pear fruit was the highest in newspaper bagging with 75% among various bagging materials at harvest time because of the high relative humidity within the double layer paper bags. During cold storage, the rate was 54~100% in 30 $\mu\textrm{m}$ polyethylene (PE) film packaging. As the harvest time was postponed, the rate increasedduring cold stoinge. The into was 1.5 to 2.4 times higher in pears harvested in late September than in those harvested in early and mid Octob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ccurrence of black stain fruit between the 30 and 50 $\mu\textrm{m}$ PE film bags. The causal fungus of the black stain pear was assumed as Gloeodes pomigena (Schweintz, 1920). The treatment of 0.1~0.5 ppm ozone gas prevented the occurrence of the pear fruit black stain until 180 days after cold storage. The ozone treatment on the affected fruit was also effective in preventing the progress of the black stain.

얼룩과는 배 재배중에 사용하는 봉지 종류에 따라 수확시발생률이 다른데 흡습성과 투기성이 불량한 이중 봉지인 신문 봉지를 사용한 경우 수확시 발생률이 75%로 가장 높았으며 저온 저장중에는 습도가 높을수록 많이 발생하여 저장 180일까지 폴리에틸렌 필름 밀봉구에서 54~100% 까지 발생하였다 또한 수확 시기가 늦어질수록 얼룩과 발생이 많아져 관행 수확기보다 일주일 빠른 9월 하순에 수확한 배보다 10월 초순이나 10월 중순에 수확한 배는 저장중에 각각 1.5, 2.4배나 높은 발생률을 보였고 저장중 폴리에틸렌 필름두께에 따라서는 얼룩과 발생률이 차이가 없었다. 얼룩과의 발현 원인이 미생물로 추정되어 과피에서 분리균을 채취, 배양하여 형태적으로 관찰한 결과, 원인균은 Gloeodes pomigena와 유사한 균으로 추정되었다. 저온 저장고 내에서 0.1~0.5ppm의 오존 가스를 처리하면 저장 180일까지 얼룩과가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얼룩과 발생 이후에 오존 가스를 처리해도 얼룩과의 진전을 막을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최성진, 홍윤표, 김영배 (1995) 신고 배의 저온 저장중 과피흑변의 발생 방지를 위한 저장 전처리. 한원지, 36, 218-228
  2. Hirose, T. (1985) Effects of pre- and interposed warming on chilling injury, respiratory rate, and membrane permeability of cucumber fruits during cold storage. J. Jpn. Soc. Hort. Sci. 53, 459-466 https://doi.org/10.2503/jjshs.53.459
  3. 홍지흔, 이승구 (1997a) '신고' 배의 유대 재배과와 무대 재배과의 수확 후 품질 변화. 한원지, 38, 396-398
  4. 홍지흔, 이승구 (1997b) 수확 후 열처리가 '신고' 배의 저장성 및 흑변에 미치는 영향. 한원지, 38, 506-509
  5. 홍성식, 홍윤표, 정대성, 김영배 (1995) 신고 배 CA 저장시험. 원예연구소 시험연구보고서 저장이용연구편, pp. 483-494
  6. 홍세진, 김명수, 박세원, 신일섭 (1998) 조생종 배 과실의 성숙 중 당과 산의 함량 및 식미의 변화. 한원지, 39, 408-411
  7. 홍윤표, 홍성식, 이종석 (1999) 배 저장 중 생리장해 원인 구멍 및 방지 연구. 1999년도 원예연구소 시험연구보고서 저장이용편, pp. 389-394
  8. 홍윤표, 홍성식, 정대성, 김영배 (1996) 사과 주요 품종의 상온 유통 기간 및 저온저장 한계기 설정. 한원지 논문발표요지, 14, 154-155
  9. Jones, A.L. and Aldwinckle. H.S. (1990) Compendium of apple and pear diseases. Amer. Phytopathol. Soc. pp. 20-22
  10. Johnson, E.M., Sutton, T.B. and Hodges, C.S. (1997). Etiology of apple sooty blotch disease in North Carolina. Phytopathology 87, 88-95 https://doi.org/10.1094/PHYTO.1997.87.1.88
  11. 강호경 (1996) 저온 저장중 '신고' 배의 과피흑변 방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87
  12. 김점국, 박희승, 이한찬, 송기철 (2000) 배 과실의 생육기 발생하는 과피얼룩과 발생요인 구명. 2000년도 원예연구소 시험연구보고서, 과수재배편 pp. 130-132
  13. 김정호 (1974) 동양배 금촌추 품종의 저장중에 발생하는 과피흑변 현상의 유기요인 및 그 방지에 관한 연구. 한원지, 16, 1-25
  14. 小林亭夫, 荷部恭久, 我孫子和雄 (1992) 植物病原菌類図說. 全國農村敎育協會, pp. 378-379
  15. Kuprianoff, J. (1953) The use of ozone in cold storage of fruits. J. Food Sci. 18, 257-342
  16. 이재창, 황용수 (1992) 배 수출 모델 개발 및 상품성 향상에 관한 연구. 제 5장 흑변 발생에 따른 조직의 생화학적 변화와 그 발생 요인. 배 수출 모델 개발 및 상품성 향상에 관한 연구. 과기처 특정연구개발 사업보고서, pp. 88-99
  17. 임병선, 이종석, 홍성식, 최선태, 김휘천, 김영배, 이재창, 황용수 (1998) 저온 저장고의 습도 조건이 '신고' 배 과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원지 39, 736-740
  18. Lurie, S., Otlman, S. and Borochov. A (1995) Effects of heat treatment on plasma membrane of apple fruit. Postharvest Biol. Technol. 5, 29-38 https://doi.org/10.1016/0925-5214(94)00018-N
  19. Norton, J.S., Chang, A.J. and Demomnvle. I.E. (1968) The affect of ozone on storage of cranberries. Proc. Amer. Soc. Hort. Sci. 93, 792-796
  20. Xu, L. (1999) Use of ozone to improve the safety of fresh fruits and vegetables. Food Technology 53, 58-63
  21. Yang, Y. J. 1997. Effect of controlled atmospheres on storage life in 'Niitaka' pear fruit. J. Kor. Soc. Hort. Sci. 38, 734-738
  22. 米肉伸一 (1995) オジンにる氣相.液相の殺菌効果. 新版オゾン利用の新技術, pp. 120-121
  23. 윤상돈, 홍윤표, 목일진, 이종석, (1995) '신고' 배 저장중 과피 얼룩 반점 발생에 관여하는 요인. 한원지, 41, 523-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