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the Components of the Emit of Elaeagnus multiflora Thumb

뜰보리수 열매의 유용성분 분석

  • 김남우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생명자원학과) ;
  • 주은영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생명자원학과) ;
  • 김성림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components of the fruit of Etaeagnus multiflora to form a part of studies on the nutritional and functional materials of fruits and leaves of E. multiflora, and the development of a functional foo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fruit was 82.34%, and the content of carbohydrate, crude protein, lipid and ash was 15.4, 1.29, 0.79 and 0.54%, respectively. The pH of the fruit extract was 3.29, acidity 0.64%, and brix 14.0. Total sugar was contained 1.03/100g and reducing sugar was 3.27 g/100g. The content of soluble protein was 0.48 g/100g, and polyphenol was 0.28 g/100g. The glucose and fructose as a free sugar was 401.96 and 370.34 mg/100g, and account for a great portion of the components. Total content of free sugary was 0 mg/100g. The total amount of organic acid was 294.44 mg/100g, and the content of citric acid was 265.01 mg/100g, malic acid 18.16 mg/100g, and succinic acid 8.50 mg/100g. In the free amino acid, the concentration of serine was the highest (13.93mg/100g), and alanine, aspartic acid, cystine and methionine were high in the above order. The content of ascorbic acid was 131.35 mg/100g and that of dehydroascorbic acid was 431.37 mg/100g. Potassium, magnesium and sodium content were 627.44, 140.28, and 56.70 mg/100g, respectively.

본 연구는 뜰보리수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물질의 조사 및 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완숙된 열매의 영양성분을 분석하였다. 뜰보리수의 수분함량은 82.34%이었고, 탄수화물, 조단백질, 조지방 및 회분의 함량은 각각 15.4, 1.29, 0.79, 0.54%이었다. 과즙의 pH와 적정산도는 각각 3.29, 0.64%이었으며, 당도는 14.0 Brix이었다. 환원당과 총당의 함량은 각각 1.03, 3.27 g/100g이었고, 수용성단백질의 함량은 0.48g/100g이었으며, 폴리페놀의 함량은 0.28g/100g이었다. 유리당인 glucose와 fructose의 함량은 각각 401.96, 370.34 mg/100g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총 유리당의 함량은 781.44mg/100g이었다. 유기산인 citric, malic, succinic acid의 함량은 각각 265.01, 18.16, 8.50 mg/100g이었고, 총 유기산의 함량은 294.44mg/100g이었다. 유리아미노산중에서는 serine과 alanine의 함량이 각각 13.93, 13.16mg/100g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aspartic acid, cystine, methionine등이 비교적 높은 함량을 보였다. Phosphoetolamine, $\beta$-alanine의 함량은 각각 13.93, 13.16mg/100g으로 높았다. 그리고 총 아미노산 및 유사물질의 함량은 94.13mg/100g이었다. 환원형 비타민 C의 함량은 131.35mg/100g이었고, 산화형 비타민 C의 함량은 431.37mg/100g이었다. 무기질 성분 중에 칼륨, 마그네슘, 나트륨의 함량이 각각 1627.44, 140.28, 56.70mg/100g으로 높게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조무행 (1989) 원색한국수목도감. p.372. 아카데미, 서울
  2. 김삼식 (1986) 원색한국수목도감. p.403, 계명사, 서울
  3. 고경식 (1991) 한국식물검색도감. p.224, 아카데미서적, 서울
  4.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p.198, 향문사, 서울
  5. Kim, Y.D., Kim, H.K. and Kim, K.J.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solvent fraction from Cornus officianal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829-823 https://doi.org/10.3746/jkfn.2003.32.6.829
  6. Park, M.H., Oh, K.Y. and Lee, B.W. (1998) Anti - caner activity of Lentinus edoeds and Pleurotus astreat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702-708
  7. 황인규 (2002) 피부노화와 먹을 수 있는 화장품, 식품과학과 산업, 35, 58-65
  8. Torel, J., Cillard, J. and Cillard, P. (1986)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oids and reactivity with peroxy radical. Phytochemistry, 25, 383-387 https://doi.org/10.1016/S0031-9422(00)85485-0
  9. Cho, S.Y., Han, Y.B., Shin, K.H. (2001)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edible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33-137
  10. A.O.A.C. (1995)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15th ed.), Washington D.C.
  11. Nelson, N. (1944) A photimetric adoption of the somogyi method for determination of glucose. J. Biol. Chem., 153, 375-381
  12. Cristina,j.K. and Brandes,W.B. (1974) Determination of sucrose, glucose and fructose by liquid chromatography. J. Agric. Food Chem. 22, 709-715
  13. Gancedo, M.C. and Luh, B.S. (1986) HPLC analysis of organic acids and sugar in tomato juice. J. Food Sci., 51, 71-580 https://doi.org/10.1111/j.1365-2621.1986.tb10838.x
  14. Fennema, O.R., Karel, M., Sanderson, G.W., Tannendaum, S.R. Walstra, S., and Whitaker, J.R. (1996) In Water-soluble vitamin: Handbook of food analysis. Maecel Dekker, New York
  15. 김용두, 김환곤, 김경제 (2003) 산수유의 영양성분 분석. 한국식품과학회지, 32, 785-789 https://doi.org/10.3746/jkfn.2003.32.6.785
  16. 이영철, 김영언, 이부용, 김철진 (1992) 산수유 열매의 화학성분과 건조에 따른 과육분리 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24, 447-450
  17. 성윤정, 김영환, 김미연, 이주백, 정신교 (2002) 국내산 자두 주요 품종의 일반성분 및 이화학적 성분 특성. 한국농화학회지, 43, 134-137
  18. 김성렬, 최우영, 강진경 (1970) 한국산 포도의 과즙성분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2, 72-80
  19. 박철진, 오성기 (1991) 천연식품 색소에 관한 연구. 한국농화학회지, 34, 206-211
  20. 차환수, 황진봉, 박정선, 박용곤, 조선재 (1999) 매실의 성숙중 유기산, 유리당 및 유리 아미노산의 변화.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4, 481-487
  21. 신국현, 임순성, 이상현, 서정식, 유창현, 박철호 (1998) 생열귀나무의 채취부위 및 시기별 비타민 함량. 약작지, 6, 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