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Methodology for the Analysis of Level-of-Service of Non-Controlled Intersections

무통제 교차로의 서비스수준 결정 방법론에 관한 연구

  • 김정현 (한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김영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 Published : 2003.10.01

Abstract

Unsignalized intersections are classified into two-way-stop-controlled(TWSC) and all-way-stop-controlled(AWSC) intersections for the analysis of capacity and level of service. There is no AWSC intersection in Korea, but non-controlled intersections are common. Non-controlled intersections are operated only by the driver's decision without any control. However, the study for the analysis of capacity and level of service of the non-controlled intersection has been rare. As the first stage research,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measure-of-effectiveness (MOE)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non-controlled intersections.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ffic volume and the intersection passing time (delay) and number of conflicts on each intersection are analyzed.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conflicts were more sensitive to the traffic volume compared with the delay. It means that number of conflicts can be the MOE for the performance of non-controlled intersection. The analysis of the number of conflicts and traffic volume showed a linear relationship, so that traffic volume can also be an MOE. The level of service of non-controlled intersection can be determined with either of the MOE's. Since the performance is also influenced by the ratio of traffic volumes of crossing streets, the traffic volume should be adjusted by the ratio. The capacity of non-controlled intersection was suggested to be 2,000veh/hr referring that of AWSC intersection in the USHCM. The criteria was suggested by evenly dividing the traffic volumes based on the capacity.

우리나라의 비신호교차로의 유형은 양방향정지식과 무통제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무통제식은 국내외에서도 용량이나 서비스수준 분석에 관한 연구가 거의 전무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유형의 무통제 교차로의 서비스 수준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우선 무통제 교차로의 서비스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효과척도 선정을 위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교통량, 상충횟수, 교차로 통행시간(지체) 등을 분석한 결과, 상충횟수과 교통량이 선형의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 2가지를 효과척도로 선정하였다. 서비스수준 E와 F의 경계가 되는 교통량(용량)은 1985 USHCM의 전방향정지식 교차로의 용량을 참고로 2000대/시로 하였으며 이때 상충횟수는 300회가 된다. 그리고 서비스수준별 상충횟수와 교통량을 용량상태를 기준으로 비례적으로 배분하였다. 교차로 총교통량으로 서비스수준을 결정할 때. 방향별 교통량비가 상충횟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어 방향별 교통량비에 대한 서비스 교통량을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환, The Gap Acceptance of Left-Turn Drivers, 대한교통학회지, 제4권 제 1호, 1986. 7
  2. 박용진, 비신호교차로에서의 교통류 특성 및 접근지체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상충지역 통행속도 이용-, 대한교통학회지, 제12권 제2호 , 1994
  3. 이수범 . 강인숙, 무신호교차로의 안전수준 진단모델, 대한교통학회지, 제14권 제2호 , 1996. 6
  4. 오철 . 장명순, 첨두시간 교통량에 의한 T형 교차로 신호등 설치기준, 대한교통학회지, 제15권 제3호, 1997
  5. 박용진 . 장덕명 . 김기혁, 교통량에 따른 교통신호기 설치 기준 안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15권 제4호, 1997
  6. 김은주, 간선도로와 이면도로간 효율적인 회전 교통류 처리를 위한 반교차로의 운영기준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9. 12
  7. 고동석 . 이용재 . 정진혁 , 수도권 지역 4-지 비신호 교차로에 대한 이동류별 차량의 임계간격과 추종시간 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18권 제6호 , 2000. 12
  8. TRB, Highway Capacity Manual. Special Report 209 , 1985
  9. TRB, Highway Capacity Manual. 1994
  10. TRB, Highway Capacity Manual. 2000
  11. NMSRA Guide to Traffic Engineering Practice Part 2-Roadway Capacity,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