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rmining Priority of Transport Policies with a Focus on Data Envelopment Analysis with Ranked Voting Data

자료포락분석(DEA)을 이용한 교통정책 우선순위 설정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3.10.01

Abstract

The Transport policies in Korea have been planned and implemented as a part of a larger economy policy based on the achievement of economic growth. As a result, previous transport policies have been focused mostly on the supply of transport infrastructure. The average annual economic growth of six percent and a twelve percent growth in motor vehicles until the late 90s led to the acceleration of the imbalance between the supply and demand of infrastructure. As such,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n innovative transportation policy in order to increase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provide momentum for national growth in the Twenty one century. This research has developed strategies and policies based on interviews that were carried out with specialists in transport field. Moreover, some transport policies have been established for the year 2020 through the conducting of a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by interviewing respondents on making the priority of transport policies. which was then analyzed using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with ranked voting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most urgent matter was considered to be the development of a inter-modal transport system, followed by an integrated service system for public transport, and the need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the transport and logistics industries and to further transport safety. Meanwhile, the provision of transportation for disabled people as well as the elderly was considered to be less important in Korea than in welfare nations. This stems from the belief as further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the construction of a public transport system, the establishment of transportation networks construction in preparation for reunification and the North-East Asian era, as well as the privatization of the transport infrastructure.

우리 나라의 교통정책은 높은 경제성장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교통시설 공급위주의 정책을 펴왔다. 90년대 후반까지 매년 6%의 경제 성장과 년 평균 12%에 이르는 자동차 대수의 증가는 교통시설의 구조적인 수급 불균형을 가속화시켜 왔다. 국가 경쟁력 강화는 물론 국가발전의 핵심 성장 동력을 창출하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새로운 교통정책 혁신방안 정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의 면담을 통해 향후 우리 나라가 취해야 할 4개의 교통정책 목표를 설정하고 각 교통정책별로 3-4개의 교통정책 추진방향을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도시교통, 도로, 철도, 항공, 해운, 물류 등 교통수단별로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를 자료포락분석(DEA:Data Envelopment Analysis)의 선호 투표(Preference Voting) 기법을 적용하여 21세기 우리 나라가 취해야 할 교통정책의 우선 순위를 도출하여 2020년까지의 교통정책 방향과 정책우선순위를 분석 제시하였다. 2020년까지 추진되어야 할 우리 나라의 교통정책을 선호순위에 의한 자료포락분석기법을 적용한 결과 종합 연계교통체계 구축, 대중교통 통합서비스 체계 구축, 재원조달 및 투자 체계 합리화, 교통$.$물류산업의 국가경쟁력강화와 교통안전체계 선진화 등이 가장 우선적인 교통정책의 추진방향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선진국의 미래교통정책에서 우선적으로 실시하고자 하는 복지 향상 측면의 교통약자의 이동권 확보와 교통 시설 효율성 측면의 지능형 교통체계의 구축과 교통시설 운영의 민영화 추진은 교통정책 추진에 있어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교통 수단간 환승 및 환적 체계의 구축과 교통 결절점을 중심으로 한 연계교통체계의 구축 그리고 공항과 지표 고속교통수단과의 연계교통체계의 구축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희일 . 정대영 . 윤문길 (2000), 'DEA 모형을 이용한 유망 정보통신산업 산정에 관한 연구', 경영연구, 제7권 제1호, pp.15-30
  2. 최문경 (1995), 'DEA에 있어서 의사결정단위의 순위결정에 관한 연구'. 생산성논집 제9권 제2집 , pp.89-110
  3. Adler N., Friedman L. and Sinuany-Stern Z. (2002), 'Review of ranking methods in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context',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140, pp.249-265 https://doi.org/10.1016/S0377-2217(02)00068-1
  4. Cook. W. D. and Kress. M.(1990), 'A Data Envelopment Model for Aggregating Preference Rankings', Management Science, Vol.36, No.11, pp.1302-1310 https://doi.org/10.1287/mnsc.36.11.1302
  5. Green R. H.. Doyle J. R. and Cook W. D. (1996), 'Preference voting and project ranking using DEA and cross-evaluation',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90, pp.461-472 https://doi.org/10.1016/0377-2217(95)00039-9
  6. Noguchi H., Ogawa M. and Ishii H. (2002), 'The appropriate total ranking method using DEA for multiple categorized purposes', Journal of Computational and Applied Mathematics 146, pp.155-166 https://doi.org/10.1016/S0377-0427(02)00425-9
  7. Obata T. and Ishii H. (2003), 'A method for discriminating efficient candidates with ranked voting data',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151, pp.233-237 https://doi.org/10.1016/S0377-2217(02)00597-0
  8. Seiford L. M.(1996), 'Data Envelopment Analysis: The Evolution of the State of the Art(1978-1995)', Journal of Productivity Analysis, Vol.7 No.2-3, pp.99-137 https://doi.org/10.1007/BF00157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