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 Quaternary Stratigraphy and Depositional Environment of the Yeongsan River Estuary, Southwestern Korea

영산강 하구의 제4기 후기 층서 및 고환경

  • 남욱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 김주용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 양동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 홍세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 봉필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유해저자원연구부) ;
  • 이윤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기반정보연구부) ;
  • 유강민 (연세대학교 이과대학 지구시스템과학과) ;
  • 염종권 (연세대학교 이과대학 지구시스템과학과)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Detailed interdisciplinary investigations demonstrate that the Yeongsan River estuarine-filled sediments clearly record important paleoenvironmental changes during the Last Glacial and Holocene. The sediments from 18.9 m(20.5∼l.6m in depth) long core MW-1 are differentiated by changes in sedimentary textures and palynomorph assemblages. Chronology was provided by AMS$^{14}$C dating and regional pollen correlation. Three paleoenvironrnental phases are recognized: (1) The Last Glacial deposits consist mainly of fluvial sediments and paleosols, experienced deposition alternating with pedogenesis. The appearance of the paleosols suggests that the paleoclimate might be cold and humid. (2) The early and middle Holocene phase started abruptly in response to the rapid global climatic warming. and is characterized by abundant marine palynomorphs. (3) The late Holocene is marked by more cool conditions. The paleoenvironmental changes recorded in the sediments coincide not only with local but also with broad-scale, probably global climate changes.

영산강 하구 퇴적물에서 최종빙기 및 현세에 해당하는 길이 18.9m의 시추 퇴적물(심도 20.5∼l.6m)을 획득하였으며, 퇴적물의 조직과 유기질 미화석 분석을 통하여 고환경의 변화를 인지하였다. AMS$^{14}$C 연대측정과 한반도에서의 화분분대 대비에 의하여 퇴적물 연대를 결정하였다. 본 시추 퇴적물에서는 크게 3가지 고환경대를 구분할 수 있었다. (1)최종빙기 퇴적물:주로 하천 퇴적층이며 고토양화 되어 있다. 퇴적 작용과 토양화 작용을 수차례에 걸쳐 받은 것으로 보이며, 고토양의 양상으로 보아 한랭$.$습윤 환경에서 토양화 작용이 진행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2) 현세 초기∼중기 퇴적물:해수면 상승으로 인하여 해수의 영향을 받게 되었으며, 해양성 미화석을 다량 포함하는 점토로 구성된다. (3) 현세 후기 퇴적물: 보다 한랭한 기후를 나타낸다. 이러한 양상은 지역적, 전지구적 환경변화 양상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지리학 v.10 황해안의 간석지 발달과 그 퇴적물의 기원-금강, 동진강 하구간의 간석지를 중심으로- 권혁재
  2.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경기만의 간석지 발달과 그 개발-인천 및 영종도 해안을 중심으로- 반용부
  3.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순천만 염하구 퇴적과정의 시공간적 변이 박의준
  4.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영산강 유역의 지형과 토지이용 범선규
  5. 한국지구과학회지 v.21 반폐쇄된 무안만에서 부유물질의 계절적 변동 및 운반양상 류상옥;김주용;유환수
  6. 한국지구과학회지 v.20 한국 서남부 탄도만의 표층퇴적물 분포와 동계 동안 부유물질의 운반양상 류상옥;유환수;김주용;이인곤;김민지
  7.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2 한국 서남해 함평만 조간대 퇴적층의 제4기 후기 층서 연구 박용안;임동일;최진용;이영길
  8. 제4기학회지 v.13 경기만 김포 조간대 지층의 제4기 후기 층서 박용안;최경식;도성재;오재호
  9. 한국해양학회지 v.30 한국 서해 남양만 조수 퇴적분지의 제4기 퇴적층서와 부정합 박용안;최진용;최강원;이영길
  10. 한국해양학회지 v.27 하반도 주변해의 수괴와 해수순환 승영호
  11. 일본문부성해의 학술조사 보고 韓國における環境變遷史と 農耕の 起源 安田喜憲;塚田松雄;金遵敏;李相泰;任良幸
  12. 제4기학회지 v.9 천수만 간월도층의 퇴적후 변형상(cryoturbation)을 해석되는 제4기 최후빙기의 한반도 서해안의 고환경 오경섭;박용안;김여상
  13. 지리업총 v.24 제4기학에 있어서 화분분석의 적용과 한반도에서의 화분분석연구 윤순옥
  14. 대한지리학회지 v.32 화분분석을 중심으로 분 일산지역의 홀로세 환경변화와 고지리복원 윤순옥
  15. 한국고생물학회지 v.16 해안만 제4기 후기 조수환경 퇴적체의 미고생물학적 연구와 환경변이 윤혜수;변현숙;박용안
  16. 한국지구과학회지 v.18 영산강유역 퇴적층의 수직적·공간적 발달 연구 은고요나;유환수;김동주
  17. 東北地理 v.31 韓國 東海岸における 後氷期の 花粉分析的 硏究 조화룡
  18. 대한지질학회지 v.31 황해 곰소만 조간대의 후기 플라이스토세 니질 산화대층의 퇴적환경과 속성작용 천종화;한상준;장진호
  19. 일산새도시개발지역 학술조사보고 Ⅰ 일산지역의 꽃가루 분석 최기룡
  20. Origin of sedimentary rocks(2nd ed.) Blatt,H.;Middleton,G.V.;Murray,R.
  21. Tongji University (China), Ph.D. Thesis Characteristics and paleo-environmental implications of the Late Quaternary paleosols in the Yangtze Delta area Chen,Q.Q.
  22. Micropaleontology v.22 Morphology and taxanomic status of Pseudoschizaea Thiergart and Frantz ex R. Potonie emend Chirstopher,R.A. https://doi.org/10.2307/1485396
  23. Quaternary Research v.57 Rediocarbon dating, chronologic framework, and changes in accumulation rates of Holocene Estuarine sediments from Chesapeake Bay Colman,S.M.;Baucom,P.C.;Bratton,J.F. https://doi.org/10.1006/qres.2001.2285
  24. Nature v.342 A 17,000-year glacio-eustatic sea level record: influence of glacial melting rates on the Yonger Dryas event and deep-ocean circulation Fairbanks,R.G. https://doi.org/10.1038/342637a0
  25. Senckenbergiana Maritima v.19 Zonation of benthos on a macrotidal flat, Inchon, Korea Frey,R.W.;Hong,J.S.;Howard,J.D.;Park,B.K.;Han,S.J.
  26. Sedimentology v.37 Recent evolution of the Outardes estuary, Quebec, Canada: consequences of dam construction on the river Hart,B.S.;Long,B.F. https://doi.org/10.1111/j.1365-3091.1990.tb00149.x
  27. Journal of Petological Society of Korea v.1 K-Ar ages of the hydrothermal clay deposits and the surrounding igneous rocks in southwest Korea Kim,I.J.;Nagao,K.
  28. Marine Micropaleontology v.34 Paleoenvironmental changes associated with Holocene marine transgression, Yellow Sea (Hwanghae) Kim,J.M.;Kennett,J.P. https://doi.org/10.1016/S0377-8398(98)00004-8
  29. Quaternary Science Reviews v.19 Benthic foraminifera record of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Yellow Sea (Hwanghae) during the last 15,000 years Kim,J.M.;Kucera,M. https://doi.org/10.1016/S0277-3791(99)00086-4
  30. Journal of Sedimentary Research v.69 Holocene transgressive stratigraphy of a macrotidal flat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Gomso Bay Kim,Y.H.;Lee,H.J.;Chun,S.S.;Han,S.J.;Chough,S.K. https://doi.org/10.2110/jsr.69.328
  31. Quaternary Research v.51 High-resolution marine record of climatic change in mid-latitude Chile during the last 28,000 years based on terrigenous sediment parameters Lamy,F.;Hebbeln,D.;Wefer,G. https://doi.org/10.1006/qres.1998.2010
  32. Sedimentology v.36 Multiple paleosols of the Late Albian Boulder Creek Formation, British Columbia, Canada Leckie,D.;Fox,C.;Tarnocai,C. https://doi.org/10.1111/j.1365-3091.1989.tb00609.x
  33.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v.18 Stratigraphy and paleoenvironmental changes in the Yangtze Delta during the Late Quaternary Li,C.;Chen,Q.;Zhang,J.;Yang,S.;Fan,D. https://doi.org/10.1016/S1367-9120(99)00078-4
  34. Quaternary Research v.55 Late- and postglacial sea-level change and paleoenvironments in the Oder Esturary, Southern Baltic Sea Mluler,A. https://doi.org/10.1006/qres.2000.2189
  35.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eanograhy v.29 Sea level fluctuation in the Yellow Sea Basin Park,Y.A.;Khim,B.K.;Zhao,S.
  36. Daiyonki Kenkyu v.37 Sea levels of the last glacial in the East China Sea continental shelf Saito,Y.
  37. Micropaleontology v.40 The Micrhystridium and Veryhachium complexes (Acritarca: Acanthomophitae and Polygonomorphitae): a taxonomic reconsideration Sarjeant,W.A.S.;Stancliffe,R.P.W. https://doi.org/10.2307/1485800
  38. Estuarine variability Comparative analysis of estuaries bordering the Yellow Sea Schubel,J.R.;Shen,H.T.;Park,M.J.;Wolfe,D.A.(ed.)
  39. Review of Palaeobotany and Palynology v.93 Some considerations on acritarch classification Servais,T. https://doi.org/10.1016/0034-6667(95)00117-4
  40. West Kyushu. Bulletin of Faculty of Liberal Arts v.19 Pseudoschizaea from the Pleistocene sediments in the Ariake Sea area Takahashi,K.
  41. Journal of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v.12 Holocene pollen records of vegetation history and inferred climatic changes in a Western coastal region of Korea Yi,M.S.;Kim,J.M.;Kim,J.W.;Oh,J.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