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noptic Clim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Dry and Wet Years in Korea in the Spring

한국의 춘계 소우년과 다우년의 종관기후학적 특성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his study is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variabilities of spring precipitation and atmospheric circulations of 500hPa surfaces between dry years and wet years over the Korean Peninsula. The distribution of variabilities of precipitation in spring are different from month to month. In March, the pattern is west-high and east-low, in April, north-high and south-low, in May, east-high and west-low respectively. In the distribution of 500hPa geopotential height anomaly, dry years of March show west-high and east-low pattern in that negative anomaly zones are forme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nd western coast of the northern Pacific Ocean, and positive anomaly zones are formed in the inland of East Asia centered on Siberia. Consequently, the Korean Peninsula and neighboring regions experience dry season when the zonal flows are strong with the positive anomaly zones of zonal components. On the contrary in the wet years the westerlies are weak since the pattern is east-high and west-low in which the positive anomaly zones are formed over the Korean Peninsula centered on the Aleutian Islands and western coast of the northern Pacific Ocean and the negative anomaly zones are formed in the inland of East Asia centered on Tibet Plateau and Siberia. The dry years of April and May show north-high and south-low patterns in that negative anomaly zones are found from the center of the northern Pacific Ocean to the eastern coast of East Asia, and the positive anomaly zones are found in the center of East Asia extending from Aleutian Islands to Tibet Plateau. On the contrary, in the wet years the patterns show south-high and north-low. This study identified not only that there are contrary atmospheric circulation patterms between dry years and wet years over Korean Peninsua in spring, but also there are different atmosphric circulation patterns between early and late spring.

본 연구는 한국에 있어서 춘계 강수 분포의 변동성과 소우년과 다우년의 500hPa면의 대기 순환 특성을 비교 분석한 연구이다. 한국의 춘계 강수량 변동률의 분포는 월별로 상이하다. 3월은 한국의 서안 지역은 높고 남동안은 낮아서 서고 동저, 4월은 북고 남저, 5월은 동고 서저 경향을 나타낸다. 500hPa면의 고도편차 분포에서 3월의 소우년은 한반도 주변과 북태평양 서안에 음의 편차역을 형성하고 시베리아를 중심한 동아시아 내륙이 양의 편차를 나타내어 서고 동저형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한반도와 그 주변은 대상풍의 동서성분 풍속은 양의 편차역에 속하여 동서류가 강할 때 소우현상이 나타난다. 다우년은 소우년과는 대조적으로 한반도는 알류샨열도 주변 및 북태평양 서안에 중심을 둔 양의 편차역에 속하고, 티베트고원 및 시베리아를 중심한 동아시아 내륙지역은 음의 편차역에 속하여 동고 서저형을 나타내며, 이 때 동서류는 약하다. 4ㆍ5월의 소우년은 북태평양의 중앙부에서 동아시아 동안에 연결된 대상의 음의 편차역에 속하며 양의 편차역은 알류샨열도에서 티베트고원에 이르는 동아시아 중부에 분포하여 북고 남저 유형을 나타내고 다우년은 소우년과 반대로 남고북저 유형을 나타내고 있다. 한반도에서의 춘계 소우년과 다우년의 출현시 대기 순환이 대조적일 뿐만 아니라 조춘과 만춘의 대기순환이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경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한국 추계강수의 기후학적 특성 김일곤
  2. 공주대 사범대 지리학 논집 v.22 한국의 장마철 강수분포형과 종관장의 대응관계에 관하여 박병익
  3. 지리학 v.32 한국의 동계 강수 분포에 관한 종관기후학적 연구 박병익;윤석은
  4.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4 no.1 한국의 춘계한발의 종관기후학적 특성 양진석
  5.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5 no.1 한국의 초가을 강수분포의 종관기후학적 특성 양진석
  6. 대한지리학회지 v.34 no.2 제주도 지역의 강수분포 특성 이승호
  7. 지리환경 교육학회지 v.5 no.1 지상기압 배치형에 따른 고도별 강수량 분포 - 대관령 동쪽 산지 이장렬
  8. 대한지리학회지 v.27 no.3 중부지방에서 발생한 1990년 9월 9~11일 호우에 관한 연구 이현영;이승호
  9. 한국기상학회지 v.28 no.3 한반도 강수량과 북반구 여름철 대기순환의 계절 변화 임규호
  10. 한국기상학회지 v.33 no.1 여름철 한반도 일강수량과 동아시아 및 태평양상 등압면 고도의 선형상관관계 임규호
  11. Progress in Physical Geography v.2 no.2 The European drought of 1975-76 and its climatic context Kelly,P.M.;Wright,P.B. https://doi.org/10.1177/030913337800200203
  12. Geographical Reports of Tokyo Metropolitan University v.9 A synoptic study of the early summer and autumn rainy season in Korea and in East Asia Lee,Byong-Sul
  13. Geographical Reports of Tokyo Metropolitan University v.16 Statistical and Synoptic Study of Heavy Rain in Korea Lee,Byong-Kon
  14. Meteorological Magazine v.106 Atmospheric Circulation During the Severe Drought of 1975/76 Miles,M.K.
  15. Meteorological Magazine v.106 A synoptic climatologist's viewpoint of the 1976/77 drought Ratcliffe,R.A.S.
  16. 地理學評論 v.48 no.7 韓國にあける長霖と秋長霖の天候氣候學的考察 李炳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