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lidity of giftedness based on clusters

영재성 요인의 분야별 타당화 연구

  • Published : 2003.06.01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implicit capabilities of giftedness by Korean adults and to validate the features of giftedness by asking the gifted students in science, liberal arts, and ordinary. Existing researches have problems as follows; they will make a high error when we distinguish gifted students who applied to various changeable conditions because they only use total score without their sub-attributes and because they designed from the viewpoint of age. And they are difficult and complex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is study is composed of two parts, Study 1 and Study 2. In study 1, we examined and analyzed the Korean's implicit concept of giftedness to 328 adults. In Study 2, the features of the Koreans' implicit concept for giftedness were validated to 1154 students in science, liberal arts, and ordinary. Giftedness features and patterns were identified by factor analysis. In the last place, we suggested the distribution of T-value scale for each feature of giftedness.

본 연구는 암묵적 방법에 의해 도출된 영재의 특성을 조사하고, 과학 분야와 인문 분야에는 어떤 영재성 요인들을 가지고 있는가와 분야별로 영재성의 요인구조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세 단계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첫 단계는 과학자는 71명, 대전시에 거주하는 학부모 73명, 인문계 과목을 가르치는 교사104명, 대학생 80명을 대상으로 암묵적 이론 접근으로 영재 의미를 구명하였다. 연구의 두 번째 단계는 자연계 영재 집단 469명, 인문계 영재집단 285명 그리고 평재 집단 399명으로 모두 1153명에 대하여, 암묵적 이론 접근에 의해 밝혀진 영재의 특징들이 과학영재와 인문사회 영재 그리고 평재를 구분하는 준거가 되는지의 여부를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ive factor analysis)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연구의 세 번째 단계는 검증된 자료를 가지고 인문계 영재 집단과 자연계 영재 집단 간의 영재성 요인 구조상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언주(2001). 영재의 판별과 선발. 영재교육연구, 11(1), 1-18
  2. 김언주, 구광현(1998). 신교육심리학. 서울: 문음사
  3. 나인태(1999). 초등학교 영재아의 심화 과학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천교육대학교
  4. 박은희(2002). 초등학생 실용지능의 구성요인 확인 및 타당화.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5. 양수정(1998). 암묵적 이론 접근을 통한 학업 지능주 실제적 지능의 구성개념 확인 및 타당화. 성균관대 석사학위논문
  6. 양수정, 이순묵(1999). 지적 능력의 암묵이론적 구조와 기능: 학업지능과 실용지능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18, 17-47
  7. 문병상(2000). 영재와 평재간의 학업적 자기조절의 차이. 초등교육연구, 14(1), 181-197.
  8. 소금현 외(2000). 중학교 과학 영재 학생의 과학관련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166-173
  9. 신명희, 김주현(2002). 과학영재의 지능특성 연구. 연세교육과학, 50, 77-92
  10. Clark(2002). Growing up gifted. New York: Merrill Prentice Hall
  11. Binet, A., & Simon, T. H.(1905). M$\dot e$thodes nouvelles pour le diagnostic duniveau intellectueldes anormaux. Ann$\dot e$e Psychologique, 11, 191-224
  12. Gagne, Francoys(1995). Hidden Meanings of the 'Talent Development' Concept. EducationalForum, 59(4), 350-62
  13. Gagne, Francoys(1999). Tracking talents. Prufrock Press
  14. Gardner, H.(1983). Multiple intelligences. The theory in practice. New York: Basic Books
  15. Gardner, H.(1996). Multiple intelligences: Myths and messages, International Schools Journal, 15(2), 8-22
  16. Renzulli J.S.(2000). Paul F-Brandwien Lecture. The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s a paradigm for school refor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9(2), 95-114 https://doi.org/10.1023/A:1009429218821
  17. Sternberg, R.J.(2000).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as exemplar stories ofsuccess: Why intelligence test validity is in the eye of the beholder. Psychology, 6(1), 159-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