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the web-based distant learning materials for elementary gifted students in science: Part 2

초등과학영재를 위한 원격교수 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2 - 보고서 분석

  • 박종석 (경북대학교 화학교육과) ;
  • 오원근 (충북대학교 물리교육과) ;
  • 박종욱 (청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 정병훈 (청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3.06.01

Abstract

In this study, learning materials that can be applied for web-based distant learning model were develop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in which investigation skills and thinking ability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And the effect of students' activity in a reports on student's investigating and thinking ability was investigated. While designing diverse experimental procedures, the students had. an opportunity to improve their observation attitude and way of scientific thinking. Such improvement was possible, only because the present web-based distant learning model consists of requiring an interaction between the students and a report and evaluation system which can put together such effort. Still, it was acknowledged that, as being in lack of teacher's direct support and supervision, the present web-based distant learning model might be somewhat ineffective in guiding the students in accordance with their own characteristics. For example, the students had a tendency to maintain their basic idea and style even when their reports are individually examined and corrected in terms of the format of the report.

본 연구에서는 탐구 과정기술과 사고력을 중시하는 초등학교 과학과목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된 원격교육모형에 적용할 수 있는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원격교수학습의 보고서를 통해 나타난 학생들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학생들은 보고서 작성을 위해 다양한 실험 방법들을 고안하는 과정에서 관찰 태도나 과학적 사고력을 신장시키는 계기를 가졌다. 이 같은 결과는 원격교육의 수업 모형이 학생들 간의 상호 작용과 그것을 종합화 할 수 있는 보고서 및 평가 등의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가능할 수 있었다. 그러나 원격교육에서는 교사들이 학생들을 직접 관리 또는 감독하지 못하기 때문에 학생들의 특성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유도하기가 곤란한 점도 없지 않아 있다는 것을 인정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보고서 작성의 형식에 대해 개별적인 평가를 해 주어도 학생들은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생각의 틀을 고수하는 점을 볼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1992). 고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2-19호
  2. 박종석, 오원근, 박종욱, 정병훈(2003). 초등학교 과학과에서 탐구사고력 지도를 위한 원격교육 모형 개발. 초등과학교육, 22(2), 131-137
  3. 조희형, 박승재(1995). 과학학습지도: 계획과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4. Collis, B.(1988). Computer, curriculum, and whole-class instruction: Issues andidea. Wadsworth Press
  5. Kozma, R.B.(1991). Leaming with media.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1(2)
  6. Peha, J.M.(1995). How K-12 teachers are using computer networks. Journal ofassociation for superuision and curricatum devetopment, 53(2)
  7. Schwab, J.J.(1966). The teaching of science as inquiry. In J.J. Schwab & P.F.Brandwein(eds.), The teaching of science. Harvard University Press
  8. Waddick, J.(1994). Case study: The use of a HypercardTM simulation to aid inthe teaching of laboratory apparatus operation. Educational and TrainingTecfmoIoey International, 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