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의 세균성 수막염

Bacterial Meningitis in Children in One Tertiary Hospital

  • 오지은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장지연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권영세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순기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손병관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홍영진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Oh, Ji Eu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Inha University) ;
  • Chang, Ji Yeo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Inha University) ;
  • Kwon, Young Se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Inha University) ;
  • Kim, Soon Ki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Inha University) ;
  • Son, Byong Kwa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Inha University) ;
  • Hong, Young Ji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Inha University)
  • 발행 : 2003.11.30

초록

목 적 : 소아에서의 세균성 수막염은 아직도 높은 사망률과 합병증을 나타내는 질환으로, 최근에 내성균의 증가 및 Hib 백신의 보급으로 항생제 치료 효과와 호발 원인균의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최근 7년간 인하대학교병원에 입원하여 세균성 수막염으로 진단 받은 환아를 조사하여 세균성 수막염 환아의 역학 및 동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방 법 : 1996년 6월부터 2003년 6월까지 인하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세균성 수막염으로 진단된 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뇌척수액 세균배양 검사에서 양성인 31명과 뇌척수액 latex 응집검사로 세균 항원을 진단한 7명, 그리고 뇌척수액 생화학적 소견 및 혈액배양검사에서 양성인 5명이었다. 결 과 : 1) 2개월 미만은 19례(44.2%), 2개월 이상 1세미만은 10례(23.3%), 1세 이상 15세 미만은 14례(32.5%)로 1세 미만이 67.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남녀 성비는 2.6 : 1이었다. 2) 2개월 미만의 원인균주는 19례로 GBS 9례(47.4%), E. coli 4례(21.1%), Klebsiella pneumoniae 4례(21.1%)의 빈도였고, 2개월 이상은 24례로 S. peumoniae 12례(50%), H. influenzae 4례(16.7%), N. meningitidis 4례(16.7%)가 흔한 균주였다. 3) H. influenzae 뇌막염은 5례로 모두 Hib 접종을 안한 환아였고, 2001년도 이후에는 발생이 없었다. 4) 사망한 경우는 2례(4.5%)로 H. influenzae, Klebsiella pneumoniae였으며, 생존한 41례 중 16례(39%)에서 뇌실염 및 수두증, 경막하 삼출, 간질, 뇌경색 등의 합병증을 남겼다. 5) 합병증이 없었던 25례 중 48시간 이전에 치료를 한 경우가 18례(72%)였고, 합병증이 있었던 16례 중 14례(87.5%)에서 모두 48시간 이후에 치료를 한 경우였다. 6) S. pneumoniae 전례에서 penicillin에 내성을 보였으며, ceftriaxone에는 50%의 민감성을 보였다. GBS에서는 ceftriaxone에는 100%의 민감성을, penicillin에서는 44.4%의 민감성을 보였으나 전례에서 penicillin에 반응을 보였다. 결 론 : 세균성 수막염의 예후인자로 치료시기가 중요한 결정인자였고, Hib 백신이 보급되기 시작한 이후 H. influenzae에 의한 수막염의 발생이 감소하였다.

Purpose :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study on bacterial meningitis in children, pertaining to the causative organisms, bacterial resistance to antibiotics and the effect of recent introduction of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Hib) vaccine. Methods : We analysed the forty-three cases of bacterial meningitis which had been treated at the Inha University Hospital from June 1996 to June 2003. Results : Nineteen cases(44.2%) of them were infants younger than 2 months of age, and 29 cases(67.5%) younger than 1 year of age. The common causative organisms under 2 months of age were group B streptococcus(GBS)(47.4%), E. coli(21.1%), and Klebsiella pneumoniae(21.1%). In the age group beyond 2 months of age, S. pneumoniae were seen in 50 %, H. influenzae in 16.7% and N. meningitidis in 16.7%. All of the five cases of Hib meningitis had not been vaccinated for Hib. There has been no Hib meningitis cases since 2001. Overall fatality rate was 4.5%, and complication occurred in 39%. Complications was significantly less frequent in patients resumed to be treated within 48 hours after onset compared to after 48 hours after onset. Penicillin resistance of S. pneumoniae and GBS isolated among bacterial meningitis cases was high. Conclusion : Timing of treatment after the onset of the disease appeared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prognosis of bacterial meningitis. The cases of H. influenzae meningitis have decreased probably due to Hib vaccin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