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증식성 사구체신염 제 II 형(Dense-Deposit Disease) 1례

A Case of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Type II(Dense-Deposit Disease)

  • 이숙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소아과) ;
  • 문재훈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소아과) ;
  • 강미선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병리과) ;
  • 송민섭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소아과) ;
  • 정우영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소아과)
  • Lee Suk-Jin (Department of Pediatrics,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san Paik Hospital) ;
  • Moon Jae-Hoon (Department of Pediatrics,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san Paik Hospital) ;
  • Kang Mi-Seon (Department of Patholog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san Paik Hospital) ;
  • Song Min-Seob (Department of Pediatrics,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san Paik Hospital) ;
  • Chung Woo-Yeong (Department of Pediatrics,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san Paik Hospital)
  • 발행 : 2003.11.01

초록

막증식성 사구체 신염은 Berger와 Galle에 의해 처음 기술되어졌고, 전자 현미경상 고밀도로 보이는 물질들이 치밀층에 침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dense deposit disease라고 명명하기도 한다. 비록 원인과 병리기전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보체의 대체경로를 활성화시켜 저보체혈증이 일어나는 임상양상으로 미루어 볼 때 이와 연관된 병의 발생기전이 보고되어 있다. 이 질환은 다른 신염에 비해 말기 신부전으로 진행하는 비율이 높아 그 중요성이 있으나 정립된 치료법이 없어 다양한 노력이 시도 중이며 그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란이 있다. 저자들은 내원 3년 전부터 나타난 지속적 반복적 육안적 혈뇨와 단백뇨, 지속적인 보체 감소증이 있었으나 상실성 빈맥증(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때문에 신조직 검사를 지연시켜오던 환아에서 2년 정도의 digoxin 복용 후 실시한 7세 여아의 조직검사에서 제 2형 막증식성 사구 체신염으로 진단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type II(MPGN II), also called dense deposit disease, was first described by Berger and Galle in 1963. The diagnosis of MPGN II is based on electron-microscopic finding of an intensely electron-dense substance which replaces the lamina densa of the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Although the etiology and pathogenesis of MPGN II are unknown, it frequently progresses to end-stage renal failure. Typically in MPGN II, hypocomplementemia due to activation of the alternative complement pathway is present. In addition, the association of MPGN II with partial lipodystrophy and complement abnormalities is well documen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associated features and the patient's renal functional outcome is not clear. With respect to the therapy for MPGN II, an alternate-day prednisolone regimen was shown to be effective. Various treatment modalities, including immunosuppression with corticosteroids, cytotoxic drugs and cyclosporin A, anticoagulants and antiplatelet therapies are used, either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varying degrees of succes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case of MPGN II from a 7 years old girl with 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PSV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