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gnin Degradation of Pine Wood by Unidentified Decay Fungi and Observation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미동정 부후균에 의한 소나무재의 Lignin 분해와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한 관찰

  • Park, Heon (Dept. of Forest Science, College of Natural Science, Konkuk University) ;
  • Min, Kyeong-Heui (Institute of Natural Science, Konkuk University)
  • 박헌 (건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산림과학전공) ;
  • 민경희 (건국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 Received : 2003.02.19
  • Accepted : 2003.03.17
  • Published : 2003.08.26

Abstract

The lignin degrading fungi were isolated from decayed woods and fruiting bodies gathered in forest area. Lignin degradation ability was investigated by Klason lignin of microbial treated pine wood. Among selected fungi, CJ-6 had 49.48% Klason lignin loss which was greater than 40.58% shown by Trametes versicolor that it is known as a typical lignin degrading fungus. Also, the biodegradation process and morphological features of degraded pine wood by selected fungi were observed with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t the stage of 20 days incubation, mycelia invasion was observed without any failure of wood structure. At 60 days, wood decay was gone in some degree and one part of tracheid and ray wall was destroyed. At 100 days, tracheid wall was severely destroyed, and distinction between ray cell was difficult as cell wall was decayed much.

목재의 주성분 중 가장 분해가 어려운 리그닌을 분해하는 균주를 선발하기 위해 산림지역에서 채취한 부후목과 자실체로부터 균을 분리하였다. 리그닌 분해능은 활엽수보다 미생물 분해가 어렵다고 알려진 침엽수인 소나무재에 미생물을 처리하여 Klason 리그닌 정량을 통해 조사하였다. 또한 선발균에 의한 소나무재의 분해과정과 부후정도를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SEM)을 이용해 조사하였다. 선발 균주 중 CJ-6에서 소나무 리그닌의 분해율이 49.48%로 가장 높았으며, 이것은 리그닌 분해 우수 균주로 알려진 Trametes versicolor의 40.58%와 비교해 보았을 때 리그닌 분해력이 더 우수하였다. 균주들 중 리그닌 분해력이 좋게 나타난 2개의 균주를 대상으로 부후에 의한 목재조직의 변화를 관찰하였는데 두 균주의 부후형이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부후 20일 경과에서는 균사의 침입은 있었으나 아직 목재는 건전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60일 간의 부후에서는 부후가 어느 정도 진행되어 가도관 벽과 방사조직의 세포벽의 일부가 분해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00일간 부후가 진행된 경우에는 부후가 상당히 진행되어 가도관 세포벽 안쪽이 분해가 많이 진행되어 있었으며, 방사조직의 세포벽이 많이 분해되어 있어 세포간의 구별이 어려웠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01학년도 건국대학교 학술연구비지원에 의한 논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