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Geological Terminology Used in South and North Korea

남북한 지질학 용어의 비교 분석

  • Kim, Jeong-Yul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Choi, Keun-Su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김정률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최근수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3.12.31

Abstract

Geological terminology used in Korea which has been politically separated for the last 50 years, were compared. For this study, geological terminology used in 'Geology of Korea' published in North Korea (1996), 'Geology of Korea' published in South Korea (1999) and other geological publications were compared. Among the 1272 geological terminology used in North Korea, 49 are for geochronology, 201 for mineralogy, 199 for petrology, 257 for structural geology, 93 for paleontology, and 473 for general geology. Out of these geological terminology, 657 (51.7%) have the same pronunciation and meaning as those used in South Korea 370 (29.1%) are analogous words, and 245 (19.2%)cannot be understood because of differences in the means of expression. Differences in geological terminology used in the two Koreas are thought to be mainly caused by language used only in North Korea, different foreign language interpretation, different initial law application, new connecting word construction, and influence from different cultures.

북한에서 발행된 '조선의 지질'과 남한에서 발행된 '한국의 지질'을 중심으로 남북한에서 발행된 지질학 관련문헌을 조사하여 남북한의 지질학 용어를 비교 ${\cdot}$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된 북한의 자료에 의하면 북한에서 현재사용하고 있는 지질학 용어의 총 수는 1272개이다. 이들 지질학 용어는 지질연대학 용어가 49개, 광물학 용어가 201개, 암석학 용어가 199개, 구조지질학 용어가 257개, 고생물학 용어가 93개, 일반지질학 용어가 473개이다. 지질학 용어의 남북한 이질화 정도를 살펴보면, 전체 지질학 용어 중에서 남북한간에 표현과 의미가 같은 동음 동의어는 657개로 약 51.7%이고, 표현하는 방법에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쉽게 그 뜻이 이해되는 동의 유사어는 370개로 약 29.1%이며, 남북한간에 표현하는 방법이 달라서 쉽게 뜻이 통하지 않는 이음 동의어는 245개로 약 19.2%이다. 남북한간에 지질학 용어가 이질화된 원인은 한글 전용 원칙의 차이, 외래어 표기법의 차이, 두음법칙 적용의 차이, 붙여쓰기 표현의 차이, 서로 다른 문화의 영향 등을 들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구 외 523인, 1995, 조선대백과사전. 백과사전출판사 (평양)
  2. 강철린, 김덕성, 박종서, 박태훈, 차광준(지질, 지리 분야), 1992,조선말대사전. 사회과학출판사(평양)
  3. 김민수, 1989, 북한 문화어와 어학혁명. 북한 언어 연구회 (편집),북한의 어학 혁명,도서출판 백의, P. 3-5
  4. 김석향, 2002, 북한 주민의 언어 생활. 북한 이해, 통일부통일연수원(편집), P. 185-190
  5. 김성희, 1998, 남북한 지리교육 비교.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9 p
  6. 김일성종합대학, 1972, 지리용어사전(자연지리편). 교육도서 출판사(동경). 364 p
  7. 남성우,정재영, 1990, 북한의 언어생활. 고려원, p. 77-89
  8. 대한지질학회, 1999, 한국의 지질. 시그마프레스, 802 p
  9. 배현숙, 1989. 남북한의 외래어 표기법 비교 분석. 북한 언어 연구회(편집), 북한의 어학 혁명, 도서출판 백의, p. 149-164
  10. 백두산 탐험대(리돈 외 17인), 1993, 백두산 총서. 과학기술출판(평양), 367 p
  11. 백룡준, 리봉기, 채수항, 1987, 조선의 지질. 과학 백과사전 출판사(평양), 332 p
  12. 서태길, 1989, 북한의 언어 정책 고찰. 북한 언어 연구회(편집),북한의 어학 혁명, 도서출판 백의, p. 21-35
  13. 시정곤, 1989, 남북한 띄어쓰기 규정의 비교. 북한 언어 연구회(편집), 북한의 어학 혁명, 도서출판 백의, P. 77-84
  14. 심원보, 1997, 남북한 화학 용어의 차이에 관한 연구. 건양대학교 건양논회論最), 1997년 제 5호, 47-56
  15. 양승영, 1998,지질학사전.교학연구사, 1111 p
  16. 이양락, 2000, 남북한 중등학교 지구과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연구. 한국지구과학학회지,제21권 1호, 1-12
  17. 임경승, 차용걸, 1995, 고등중학교 지리1. 교육도서출판사(평양)
  18. 전수태, 최호철, 1989, 남북한 언어비교. 도서출판 녹진, P. 11-54
  19. 전영오, 1992, 북한 물리 교과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6 p
  20. 정경인, 1989, 북한의 언어정책 시행기관. 북한 언어 연구회(편집), 북한의 어학 혁명,도서출판 백의, P. 37-54
  21. 정도복, 1998, 남북한 언어 이질화 실태 연구.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 제5집, 7-29
  22. 정봉영, 1994, 남북한 화학용어 비교. 과학과 기술, 제 27권 3호, 22-23
  23. 정창희, 1994,지질학 개론. 박영사, 642 p
  24. 조석형, 문영빈, 한태식, 장인규, 1995, 고등중학교 지리5. 교육도서출판사(평 양)
  25. 진창훈, 1995, 고등중학교 지리2. 교육도서출판사(평양)
  26. 최제덕, 리명현, 주재엽, 김장근, 신숙정, 1966. 대중과학사전(지질편). 군중문화출판사(평양), 606 p
  27. 한만길, 이찬희, 이인제, 손용택, 김정래, 1999, 남북한 교육용어 비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27 p
  28. 홍미랑, 1989, 남북한의 한자음 표기법 비교. 북한 언어 연구회(편집), 북한의 어학 혁명, 도서출판 백의, P. 135-148
  29. 홍영국, 1989, 지질학용어사전. 형설출판사, 223 p
  30. Paek, R.J., Kang, H.G., and Jon, G.R., 1996, Geology of Korea. Foreign Languages Books Publishing House, Pyongyang, 631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