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무궁화위성 2호의 동서위치유지 박스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ast-West Station Keeping Box of Koreasat 2

  • 발행 : 2003.11.01

초록

정지궤도 위성의 위치는 여러 외부 교란력에 의해서 끊임없이 움직이기 때문에 우주에서 한 점으로 정의할 수 없다. 따라서 정지궤도 위성의 통신방송과 같은 일반적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주의 한정된 공간인 위치유지박스 내에 운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남북위치유지 오차보다 상대적으로 큰 동서 위치유지 박스를 설정하기 위해서 여러 오차들을 유도하여 정립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무궁화위성에서 사용하고 있는 7일의 위치유지주기를 검증하고 14일로 위치유지 주기를 늘릴 경우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The longitude and latitude of a geosynchronous satellite are not defined as a point in space because of various external perturbations. To perform the missions of a satellite for a 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the satellite must be positioned within a predefined station keeping box in given limited space longitude. In this study, we propose east-west station keeping box larger than that of north-south station. By using the derived error equation, we verified the Koreasat station keeping box allocation by assuming one week and two weeks of station keeping cycle.

키워드

참고문헌

  1. 노태수 외, "최소연료를 사용한 정지궤도 통신위성의 궤도 제어에 관한 연구(I)", 한국통신 연구보고서, 1997.
  2. E.M.Soop, Handbook of Geostationary Orbit, Space Technology Library, 1994.
  3. Uwe Bruege, "Solutions for the Geostationary Colocation Problem", AIAA-93-3789-CP, 1993.
  4. Chobotv, V. A., "Obital Mechanics", Secnond Edition, AIAA Education Series, 1996.
  5. 이상철, 노태수, "정지궤도 위성군의 상대위치보정을 위한 최적궤도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우주학회지, 제 27권, 제 6호, 1999.

피인용 문헌

  1. A Study on the Strategies of the Positioning of a Satellite on Observed Images by the Astronomical Telescope and the Observation and Initial Orbit Determination of Unidentified Space Objects vol.28, pp.4, 2011, https://doi.org/10.5140/JASS.2011.28.4.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