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용 웹 사이트 평가를 위한 준거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riteria for Evaluating Educational Web Sites

  • 김미량 (성균관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투고 : 2002.12.09
  • 심사 : 2003.01.17
  • 발행 : 2003.01.30

초록

웹에 존재하는 넘치는 정보 중에서 이를 교육의 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정보에 대한 사전 검증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현재에도 웹의 많은 정보들이 교수-학습의 내용으로 활용되고 있고 또 웹기반교육이나 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소재가 되고 있으나 이들 정보에 대한 총체적 질을 관리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본 연구는 교육용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의 질 관리에 유용한 도움을 줄 수 있는 평가의 준거를 개발, 적용해 보고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교육용 웹 사이트 설계, 개발과정에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사항들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용 웹 사이트의 평가에 유용하다고 판단되는 평가항목들을 체계적으로 분류 정리하고 교육용 웹 사이트에 대한 만족도 항목을 추가한 뒤, 통계적 분석과정을 통해 의미있는 평가준거들을 제안하였다. 각 개별 평가항목을 설문항목으로 전환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개별항목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해 보았으며 이 과정을 통해 추출된 14개 요인과 웹 사이트 만족도 간의 희귀분석을 통해 중요 평가지표들을 추출해 보았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중심의 교육용 웹 사이트 개발에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평가지표들이 제안 되었고, 설계적 시사점 등이 논의되었다.

Educational web sites are proliferating at an astonishing rate, however many of those web sites are of poor or unknown quality. Educators are in need of instruments to assist in evaluating educational web sites for authenticity, applicability, authorship, bias, and usability, etc. The ability to critically evaluate educational content form numerous web sites is an important skill in this information age. In this paper, indicators of educational web site quality have been identified from literature review and our own research, and classified within 8 categories. To test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each indicator to the satisfaction level from using educational web sit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Subjects were asked to visit the educational web site of his or her choice and rate the quality level of each indicator. 255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turned in for analysis. Cronbach's Alpha test and factor analysis were applied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at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level and 14 independent factors. Implications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as well as the guidelines for evaluating educational web sites were provided.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