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폐기물과 하수슬러지 병합처리를 위한 전처리시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treatment Facility for Foodwaste and Sewage Sludge Mixture

  • 김종오 (경상대학교 건설공학부/환경지역발전연구소) ;
  • 이창호 (양산대학 바이오환경과) ;
  • 김지영 (경상대학교 대학원 환경보전학과)
  • Kim, Jong-Oh (Division of Construction Eng./EDRI, Gyeongsang National Univ.) ;
  • Lee, Chang-Ho (Dept. of Bio and Environment Yangsan College) ;
  • Kim, Ji-Young (Dept. of Environmental Protection,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
  • 발행 : 2003.03.30

초록

본 연구는 음식폐기물과 하수슬러지의 병합처리를 위한 음식폐기물 전처리시설을 평가하고 그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음식폐기물 전처리시설은 저장, 선별분쇄, 농축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수처리장 방류수를 희석수로 이용하여 선별분쇄시 파쇄를 용이하게 하고 염분농도의 희석효과도 가져올 수 있었다. 파쇄된 음식폐기물의 입자는 대부분 2mm 이하로 하수슬러지와 혼합하여 혐기성소화시 효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존 하수슬러지 처리시 발생되는 가스발생량은 0.8톤/일(메탄 0.5톤/일)로 매우 낮았으나 음식폐기물과의 병합처리후에는 3.5톤/일(메탄 2.3톤/일)의 소화가스가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탈수슬러지의 발생량 또한 기존 11.2톤/일에 비해 21.2톤/일로 증가하지만 하수슬러지에 비해 유기물 함량이 높으므로 재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음식폐기물 전처리시설의 적절한 활용을 통해 기존 하수처리시설과의 연계 처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improve the pre-treatment facility for foodwaste and sewage sludge mixture treatment. The process of foodwaste pre-treatment consists of storage, classification with crushing, and thickening. The effluent of sewage treatment facility was used as the diluting and washing water. The panicle size of foodwaste after pre-treatment was almost under 2mm, the mixture of foodwastes and sewage sludge showed an advantage to the anaerobic digestion. The amount of gas production increased from 0.8ton/day ($CH_4$ : 0.5ton/day) to 3.5ton/day ($CH_4$ : 2.3ton/day) after the anaerobic digestion of the foodwastes and sewage sludge mixture. The amount of sludge cake increased from 11.2ton/day to 21.2ton/day. Therefore, the proper operation of the foodwaste pre-treatment facility was contributed to the efficient anaerobic digestion of foodwaste and sewage sludge mixture treatment.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과학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