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슬러지 지렁이 퇴비화 장치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On-Site Vermicomposting Unit for Sewage Sludge

  • 김종오 (경상대학교 건설공학부(도시)/대학원환경보전학과) ;
  • 이창호 (양산대학 바이오환경과)
  • Kim, Jong-Oh (Dept. of Urban Engr., Division of Construction Engr./Dept. of Environ. Protection, Gyeongsang National Univ.) ;
  • Lee, Chang-Ho (Dept. of Bio & Environment, Yangsan College)
  • 발행 : 2003.03.30

초록

본 연구는 하수슬러지 지렁이 퇴비화 장치 개발을 목적으로 재래식 지렁이 이용기술의 문제점 개선 및 지렁이 생리 생태를 이용하여 제작된 소규모 지렁이 퇴비화 장치의 성능평가을 통한 현장 적용 가능한 장치 설계 및 운영지표 설정을 위한 실험 결과 실험장치 성능평가에서는 하수슬러지 급이시 입자크기와 먹이 공급 층의 높이가 각각 5mm 크기와 10cm 두께로 급이 할 때 처리율이 가장 높았으며, 지렁이 적정 밀도는 20~25kg${\cdot}$지렁이/50kg${\cdot}$하수슬러지로 나타났다. 또한 분변토 분리효율은 지렁이 사육상 높이를 80cm으로 운영했을 때 분리효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일 2톤의 하수슬러지 처리가 가능한 $5{\times}3{\times}1m$ 크기의 지렁이 퇴비화 장치 설계가 가능하였다.

The on-site sewage sludge vermicomposting equipment was designed and evaluated on the batch and continuous tests. The vermicomposting equipment was designed to consider the mechanization as well as automation. In terms of performance evaluation of equipment with continuous experiments, the highest treatment rate was found in the condition of 5mm in particle size and 10mm in e feeding height. Also, 20~25kg of earthworm per 50kg of sewage sludge was the most appropriate density of earthworm. In addition, the most effective separation of cast was found when the earthworm breeding box height was 80cm. The performance evaluation on equipment allowed the establishment of earthworm composting capacity of 2ton per a day with a size of $5{\times}3{\times}1m$ and the automatic control devic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