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the Factors of Youth Unemployment and Nonparticipation in Korea

청년층 미취업의 실태 및 원인 분석

  • Received : 2003.01.29
  • Accepted : 2003.02.26
  • Published : 2003.03.31

Abstract

This study focus on unemployment and nonparticipation of youth. By dividing youth nonparticipants into 'house work and child care', 'studying and training', 'the others' categories, we estimate the potential wages with selectivity bias model and analyse the factors of choosing unemployment or nonparticipation with multinomial logit model.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otential market wage and the desired wage of the groups of 'studying and training', 'the others' in the nonparticipants are greater than those of the unemployment group. In the case of the man and lower age, and low schooling the differences of potential and desire wage are larger than woman and higher age, and high schooling. In the choice of unemployment and nonparticipation, man and higher age, and householder, and holder of qualification are not likely to opt nonparticipation. The experience of job lower the rate of probability to choose employment, but raise the rate of probability to choose unemployment and nonparticipation. These results mean that the quality of youth employment is very inferior.

본고는 청년층의 실업 및 비경제활동의 실태를 살펴보고 그 원인을 분석해 보았다.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를 가사 육아 학업 훈련, 기타의 범주로 구분하고 선택편의 모형 및 다항로짓 모형으로 미취업자들의 시장가능임금 을 추정하고 실업 및 비경제활동의 선태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미취업자의 희망임금과 시장가능임금의 차이가 실업보다는 학업 훈련 범주나 기타의 범주에 속하는 비경제활동 청년에게서 크게 나타났다. 남성, 연령이 적을수록, 저학력일수록 희망임금과 시장가능임금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취업 및 실업, 비경제활동의 선택에서 남성, 고연령, 가구주, 자격증 소지자일 경우 취업의 선택 확률을 높이고 비경제활동의 선태 확률은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의 첫 직장 경험은 취업을 선택할 확률을 크게 낮추고, 실업 및 비경제활동을 선택할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청년층의 취업의 질이 극히 낮은 수준임을 반영하는 것이라 파악할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