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uarative Evaluation on Strength of Several Grout-filled Splice Sleeve

각종 그라우트 충전식 철근이음의 내력에 대한 비교평가

  • Kim Hyong-Kee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Samcheok National University)
  • 김형기 (삼척대학교 건축공학과)
  • Published : 2004.10.01

Abstract

In this study, the tensile strength of 321 full-sized grout-filled splice steeve specimen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order to afford the data for a reasonable and economical design of this system. The experimental variables analyzed in this study were embedment length of reinforcing bars, compressive strength of grout, sleeve geometry, loading pattern and final failure mode of specimen. Following main conclusions are obtained : 1) The strength of grout-filled splice sleeve tends to be improved with increasing compressive strength of grout and embedment length of reinforcing bars. Specially this tendency appears apparent in specimens of bond failure rather than rebar failure. 2)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sleeve geometry have influence on the bond strength of grout-filled splice sleeve. 3) The grout-filled splice sleeve of bond failure don't show the difference of tensile strength according to size of rebar. 4) It is verified that the tensile strength required in ACI and domestic code is retained either whe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grout over 70 MPa is used with embedment length of reinforcing bars over 4.5d or whe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grout over 80 MPa is used with embedment length of rebars over 3.9d. 5) It is verified that the tensile strength required in AIJ code is retained in case when the embedment length of reinforcing bars is 0.8 times the rebar diameter longer than in ACI code.

본 연구에서는 그라우트 충전식 철근이음의 보다 합리적인 설계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그동안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각종 그라우트 충전식 철근이음의 구조성능을 비교 분석하고자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에서 실시했던 각종 그라우트 충전식철근이음의 320여개 실험결과를 수집한 후에 철근이음의 내력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그라우트 충전식 철근이음의 내력은 철근의 정착길이와 충전 그라우트 압축강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커지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상대적으로 철근의 정착길이가 짧거나 충전 그라우트 압축강도가 낮아서 부착파괴가 발생한 실험체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둘째, 슬리브의 형상이 그라우트 충전식 철근이음의 부착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착파괴된 철근이음 실험체에서 철근의 직경에 따른 철근이음 내력의 차이가 특별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충전 그라우트 충전식 철근이음에서 철근 항복강도의 $125\%$ 이상의 인장력을 전달하여 ACI 및 국내 규준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그라우트 압축강도가 70MPa이면 철근의 정착길이를 4.5d 이상, 그라우트 압축강도가 80MPa이면 철근의 정착길이를 3.9d 이상 확보해야 한다. 또한, 철근 인장강도 이상의 인장력을 전달하여 AIJ 규준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충전 그라우트 압축강도가 70MPa이면 철근의 정착길이를 5.34 이상, 그라우트 압축강도가 80MPa이면 철근의 정착길이를 4.7d 이상 확보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鈴木計夫 外 2人, 'グラウト充塡式鐵筋繼手に關する硏究の動向', 日本コンクリ-ト工學, Vol.34, No.4, 1996, pp.15-23
  2. 鈴木計夫 外 7人, '內面に突起を有する鋼管を用いたグラウト充塡式鐵筋繼手の性能に關する硏究(その1:繼手性能に及ぼす諸要因の影響)', 日本建築學會大會學術講演梗槪集(北陸), 1992, pp.893-894
  3. 鈴木計夫 外 7人, 鋼管スリ-プを用いたグラウト充塡式繼手に關する硏究(その1: 硏究目的および實驗槪要, その2: 鐵筋の付着應力度すべリ特性, その3: 性能改善手法とその效科)', 日本建築學會大會學術講演梗槪集(關東), 1993, pp.133-138
  4. 鈴木計夫 外 3人, '鋼管スリ-ブを用いたグラウト充塡式繼手における鐵筋の付着應力度すべリ特性', 日本建築學會構造系論文集 第462號, 1994, pp.131-139
  5. 鈴木計夫 外 6人, 'スリ-ブ鋼管を用いたグラウト充塡式鐵筋繼手の構造特性(その1: 實驗結果と解析モデル, その2: 改良力學モデル)', 日本建築學會大會學術講演梗槪集(東海), 1994, pp.201-204
  6. 鈴木計夫 外 3人, '鋼管スリ-ブを用いたグラウト充塡式鐵筋繼手の繰返し荷重下における基礎的性能', 日本建築學會構造系論文集 第496號, 1997, pp.91-98
  7. 김형기, '鐵筋이음용 스플라이스 슬리브 開發 및 單調加力에 의한 構造性能에 관한 硏究', 大韓建築學會論文集 構造系, Vol.14, No.8, 1998, pp.63-73
  8. 김형기, '反復荷重을 받는 鐵筋이음용 스플라이스 슬리브의 構造性能에 관한 硏究', 大韓建築學會論文集 構造系, Vol.14, No.9, 1998, pp.73-81
  9. 삼성물산(주)건설부문, (주)대동엠에스, '국산 스플라이스 슬리브 이음 개발 및 구조성능에 관한 연구 (2차년도:D19, D25, D32, D38철근용)', 삼성물산(주)건설부문 기술연구소/주택사업본부, (주)대동엠에스, 1998
  10. 김형기 외 3명, '고강도 모르타르 충전식 철근이음의 구조성능에 관한 실험연구', 콘크리트학회논문집, 13권 5호, 2001, pp.516-524
  11. 김형기, '고강도 모르타르 충전식 스플라이스 슬리브의 인장강도와 연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18권, 12호, 2002, pp.35-42
  12. STRESS, (주)청구기술연구소, '청구 스플라이스 슬리브 이음에 관한 연구', 한양대 초대형구조시스템연구센터/(주)청구기술연구소, 1994
  13. 이리형 外 4人, '鋼管슬리브를 이용한 철근이음에 관한 실험적 연구', 大韓建築學會論文集, Vol.13, No.3, 1997, pp.241-250
  14. 이리형 外 2人, '鋼管內 高强度 모르터 充塡 鐵筋이음에 관한 硏究', 大韓建築學會論文集, Vol.13, No.8, 1997, pp.147-154
  15. 阿瀨正明 外 2人, '高强度鐵筋に用いるモルタル充塡式繼手の實用化に關する硏究(その1: SD490鐵筋を用いた繼手單體性能について)', 日本建築學會大會學術講演梗槪集(近畿), 1996, pp.743-744
  16. 日本スプライススリ-ブ株式會社, 'RPC構法におけるNMBスプライススリ-ブ繼手の施工性に關する實驗結果報告(その1施工誤差を吸收したNMBスプライススリ-ブ13U-X(D41)繼手の性能判定試驗結果報告書)', 日本スプライススリ-ブ株式會社, 1992
  17. 日本スプライススリ-ブ株式會社, 'RPC構法におけるNMBスプライススリ-ブ繼手の施工性に關する實驗結果報告(その1施工誤差を吸收したNMBスプライススリ-ブ13U-X(D41).11U-X(D35)繼手の性能判定試驗結果報告書)', 日本スプライススリ-ブ株式會社, 1993
  18. 日本スプライススリ-ブ株式會社, '名種NMBスプライススリ-ブXタイプを用いて接合した鐵筋繼手の性能試驗結果(鐵筋徑別性能試驗)', 日本スプライススリ-ブ株式會社, 1993
  19. Amin Einea, Takashi Yamane, and Mather K Tadros, Grout-Filled Pipe Splices for Precast Concrete Construction,' PCI Journal, 1995, pp.82-93
  20. ACI 'ACI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Reinforced Concrete (ACI 318-99) and Commentary (ACI 318R-99),' American Concrete Institute, 1999, 201pp
  21. 日本建築學會, '鐵筋コンクリ-ト造配筋指針同解說', 日本建築學會, 1986, pp.271-279
  22. 日本建築センタ-, '鐵筋繼手性能判定基準(1982)', ピルデイングレタ-, 1983, pp.1-5
  23. 한국콘크리트학회, '건설교통부제정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 한국콘크리트학회, 1999, pp.174-177
  24. 안병기, 김형기, 박복만, '모르타르 충전식 철근이음의 구속효과', 콘크리트학회논문집, 15권 1호, 2003, pp.102-109
  25. 日本建築學會, '鐵筋コンクリ-ト終局强度設計に關する資科', 日本建築學會, 1987, pp.43-51

Cited by

  1. Evaluation on Stiffness of High-strength Mortar-filled Sleeve Bar Splice Under Cyclic Loading vol.17, pp.1, 2013, https://doi.org/10.11112/jksmi.2013.17.1.0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