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Ozone and UV Treatment of Groundwater on the Quality of Wine

지하수의 오존과 UV처리가 탁주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 Park, Young-Gyu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Daejin University) ;
  • Kim, Hee-Jung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Daejin University)
  • Published : 2004.04.30

Abstract

Experiments using ozone are presented for the water purification and wine quality improvement. Advanced oxidation process results reveal water treatment by both ozone and UV radiation increases quality of the takju prepared using a Korean conventional nuruk than with ozone-treatment or convectional method only. Water quality was enhanced by ozone treatment, resulting in 85% reduction of hardness, and 30% increase in total glucose produced due to increased conductivity and biodegradability of water. Although initially decreased slightly due to oxidation of takju, higher than expected ethanol production was observed, with ozone plus UV treatment resulting in 20% higher production compared with other methods.

일반적으로 탁주 생산 공정에서 오존을 처리하는 경우는 용기 및 음용수의 소독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지하수 등에 오존을 이용하는 경우, 오존의 산화반응으로 탁주의 품질 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담금 공정에서의 오존처리효과를 분석한 결과, 오존 처리시 수중의 오존의 오존농도가 1 ppm이하의 규정을 유지한 상태에서 오존주입량을 증가시키게 되면 오존 증가와 함께 에탄올의 생성량은 1차 담금 4일 째부터 20%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오존을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보다 오존과 자외선을 동시에 처리하는 경우에 에탄올 생성량은 10%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존의 주입시간에 따라 에탄올 발생량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오존주입시간을 4시간 처리한 경우가 미 오존 처리한 경우와 비교하여 수중의 경도는 85%이상 감소되며 전기전도도는 50%이상 증가하였지만 수중의 산소농도는 1.2 ppm 미만으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하수의 오존주입시간별 발효일 경과에 따라 에탄올 발생량을 비교해 본 결과 담금 첫날과 비교하여 담금일 4일후 최대 300%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론을 토대로 1차 담금에서 당의 생성량을 비교해 본 결과, 오존단독 처리와 오존과 자외선을 동시에 처리한 경우와 비교하였을 경우에 당의 생성량은 35%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Yoo MJ, Cho Y. Water Treatment, Donghwa Press, Seoul, Korea. pp. 118-126 (1995)
  2. Staehelin J, Hoigne J. Decomposition of ozone in water in the presence of organic solutes acting as promoters and inhibitors of radical chain reactions. Environ. Sci. Technol. 19: 1206-1213 (1985) https://doi.org/10.1021/es00142a012
  3. Kuo C, Zhong L, Zappi ME, Hong AP. Kinetic mechanism of the reaction between ozone and hydrogen peroxide in aqueous solutions. Canadian J. Chem. Eng. 77: 473-482 (1999) https://doi.org/10.1002/cjce.5450770306
  4. Camel V, Bermond A. The use of ozone and associated oxidation processes in drinking water treatment. Water Res. 11: 3208-3222 (1998)
  5. Sawyer CN, McCarty P, Parkin GF. Chemistry for Environmental Engineering. Donghwa Press, Seoul, Korea. pp. 131-126 (2000)
  6. Park Y, Jung M, Park S. Research Report of HHI, Ulsan, Korea (1996)
  7. Xu P, Janex M, Savoye P, Cockx A, Lazarova V. Wastewater disinfection by ozone: main parameters for process design. Water Res. 36: 1043-1055 (2002) https://doi.org/10.1016/S0043-1354(01)00298-6
  8. Gottschalk C. Ozo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Pergman Press, New York, NY, USA. pp. 46-89 (1999)
  9. Park Y. Impact of ozonation on biodegradation of trihalomethane in biological filtration system. J. Ind. Eng. Chem. 7: 349-357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