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n Electrolyzed Water Manufactured by Various Electrolytic Factors

전해인자에 따른 전기분해수의 특성 비교

  • Published : 2004.06.30

Abstract

Efficacy of surface steriliz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lectrolyzed water manufactured depending on electrolyte, materials, and type of electrolytic diaphragm used were investigated. Physical properties of electrolyzed water manufactured from diaphragm system showed the highest effectiveness under at distance between diaphragms of 1.0 mm and 20% NaCl supplying rate of 6 mL/min. ORP, HClO (should defined) content, and pH at above conditions were 1,170 mV, 100 ppm, and 2.5, respectively. Two-stage electrolyzed system was more effective than one-stage one. Electrolyzed water manufactured from non-diaphragm system at 4 mL/min supplying rate of 20% NaCl was similar to the most effective diaphragm system, whereas ORP, HClO content, and pH were 800 mV, 200 ppm, and 9, respectively. Sealed electrolyzed water could be preserved more than one month at room temperature with ORPs of 750 and 1,150 mV in non-diaphragm and diaphragm systems, respectively, and at HClO content of 100 ppm.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lectrolyzed water manufactured from electrolytic diaphragm of $IrO_{2}$ and Pt+Ir were more effective than that of Pt. ORP and HClO contents of electrolyzed water manufactured from various electrolytes were high in order of NaCl>KCl>$CaCl_{2}$, whereas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electrolytes in sterilization efficacy. Twelve kinds of microorganisms tested (initial total count, $10^{5}-10^{6}CFU/mL$) were sterilized within 1-2 min by electrolyzed water.

본 연구에서는 전해 격막의 방식 및 재질, 전해액에 따른 전기분해수의 물리적 특성과 미생물의 표면살균 효과를 검토하였다. 격막 방식의 전기분해수 제조 시스템의 최적조건은 간극이 1.0mm, 20% NaCl 첨가량이 6mL/min 일 때 제조된 전기분해수의 물성치가 ORP 1,170mV 수준, HClO 함량 100ppm 수준, pH 2.5 수준으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1단 방식보다는 2단의 전기분해 방식이 물성 측면에서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무격막 방식의 전기분해수는 간극이 1.0mm, 20% NaCl 첨가량이 4mL/min 일 때 격막 방식의 최적조건과 가장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차아염소산 함량은 132-266ppm 수준, pH는 9 수준으로 격막 방식과는 크게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극의 재질에 따른 성능을 평가한 결과, $IrO_{2}$ 및 Pt+Ir 재질의 극판이 산화환원전위 1,144-1,142mV 수준, 차아염소간 함량 190-235ppm 수준, pH 2.24-2.73으로 Pt 재질에 비해 물성치가 다소 높음을 볼 수 있으며 제조 수량도 가장 양호하게 나타났다. 전극판의 재질 특성에 따라 제조한 전기분해수의 미생물 살균효과는 Salmonella typhimurium을 제외한 나머지 3균주는 초기 $10^{7}-10^{9}CFU/mL$에서 30초 후에 모두 사멸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Salmonella typhimurium는 $IrO_{2}$ 재질에서는 1-2분 이내에 사멸되었다. 전해액으로 NaCl 및 $CaCl_{2}$, KCl을 사용하여 제조한 전기분해수의 ORP및 HClO 함량은 NaCl, KCl, $CaCl_{2}$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큰 차이는 없었으며, 미생물 사멸효과는 동일하게 나타났다.c}C$에서 발효한 비지장에서 glucose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대두로 비지를 제조했을 때와 비지장의 발효과정 중 isoflavones 조성은 glucosides 함량은 감소하고 aglycones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40^{\circ}C$에서 발효한 비지장에서 그 증감의 폭이 컸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비지장의 맛과 인체 이용율에 바람직한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 생각되는 ${\beta}-amylase$와 중성 protease 활성도, 단백질 분해율과 용해율, 유리 아미노산 총함량 및 조성, 환원당과 glucose 함량, genistein과 daidzein의 함량 등을 고려했을 때 품질이 우수한 비지장을 얻기 위해서는 $40^{\circ}C$에서 48시간 발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환원당(還元糖)은 원기(元氣)가 가장 많고 도입(導入) 2호(號)가 가장 적었고 자당(蔗糖)은 칠복(七福)이 가장 많고 원기(元氣)가 가장 낮았으며 가용성전당(可溶性全糖)은 유심(琉心)이 가장 많고 천미(千美)가 가장 적었다. 3. 전단백질함량(全蛋白質含量)은 수원(水原) 147호(號)가 가장 높고 유심(琉心)이 가장 낮았으며 가용성단백질함량(可溶性蛋白質含量)은 칠복(七福)이 가장 높고 유심(琉心)이 가장 낮았으며 전단백질함량(全蛋白質含量)과 수용성단백질함량(水溶性蛋白質含量) 간(間)의 차이(差異)도 각각(各各) 상이(相異)하였다.& Inner part)의 순서등 5품종을 선정하였다. B. 숙성온도별 영향으로서 실온 $24{\sim}25^{\circ}C,\;30^{\circ}C,\;45^{\circ}C$ 별로 각 fine spirit에 oak chip을 넣고 숙성시킨 결과 $45^{\circ}C$에서 숙성시킨 것이 가장 숙성이 촉진 되었고

Keywords

References

  1. Shigezo N. Studies on utilization of ozone in food preservation.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8: 360-365 (1991) https://doi.org/10.3136/nskkk1962.38.360
  2. Noriaki T, Noriko T, Tatsuya F, Toshiya D. The use of electrolyzed solutions for the cleaning and disinfecting of dialyzers. Artif. Organs 24: 921-928 (2000) https://doi.org/10.1046/j.1525-1594.2000.06611.x
  3. Anon. Detergent and cleaner for food using emulsifier. Food Ind. 9: 112-116 (1998)
  4. Yuko N, Yuko M, Mihoko K. Evaluation of electrolyzed strong acid aqueous solution called the 'function water'. Bunseki Kagaku 45: 701-706 (1996) https://doi.org/10.2116/bunsekikagaku.45.701
  5. Sano Y. The synthetical evaluation of functional water. Food Ind. 7: 58-64 (1997)
  6. Suzuki S. Application of electrolyzed water on foods. Food and Development 33: 10-15 (1999)
  7. Koukichi H.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lectrolyzed functional water and its appliction. Fragr. J. 3: 18-22 (1999)
  8. Sakai S.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electrolyzed-oxidizing water. Food Ind. 30: 35-43 (1995)
  9. Komiyama K. Toxicological studies of electrolyzed water. Food Proc. 33: 8-9 (1998)
  10. Koukichi H.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lectrolyzed functional water and its appliction. Fragr. J. 3: 18-22 (1999)
  11. Minoru K. Application of electrolyzed-oxidizing water on food processing. Shokuhin Kagyo Gisyus 14: 332-339 (1994)
  12. Machuo S. The Technology of Foundation and Application of Electrolyzed-oxidizing Water. Kihotou Press, Tokyo, Japan (1999)
  13. Thuchii T. Manufacture system of electrolyzed-oxidizing water. J. Antifung. Agents 28: 183-191 (2000)
  14. Jeong JW, Jeong SW, Kim MH. Applicable properties of electrolyzed acid water as cleaning water.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 395-402 (2000)
  15. Kim DC, Kim BS, Jeong MC, Nahmgung B, Kim OW. Development of Surface Sterilization Technology for Fruit and Vegetables. G1158-0755.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Korea. pp. 87-104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