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화학적 환원 분석을 통한 Sn의 산화에 대한 연구

The Oxidation Study of Pure Tin via Electrochemical Reduction Analysis

  • 조성일 (한국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과 전자패키지 연구센터) ;
  • 유진 (한국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과 전자패키지 연구센터) ;
  • 강성권 ;
  • Cho Sungil (Center for Electronic Packaging Materials,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
  • Yu Jin (Center for Electronic Packaging Materials,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
  • Kang Sung K. (IBM T. J. Watson Research Center) ;
  • Shih Da-Yuan (IBM T. J. Watson Research Center)
  • 발행 : 2004.09.01

초록

여러 가지 온도와 습도에 따라 Sn의 표면에 형성되는 산화물을 전기화학적 환원방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전기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금속표면에 형성된 산화물을 환원시킬 때 나타나는 환원전위와 소모된 전하량을 측정하여 표면 산화물의 종류와 양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전기화학적 환원 방법이 금속 표면 산화물의 분석에 적합한지 알아보기 위해 여러 가지 산화물 분말의 환원 전위와 수소 발생 전위를 측정하였고, 분석을 위한 최적의 전류밀도 값을 구하였다. Sn 표면에 생성된 산화물을 분석한 결과 $85^{\circ}C$의 건조한 환경에서 보다 T/H (Temperature/Humidity, $85^{\circ}C$/$85\%$상대습도)조건에서 SnO가 더 빠르게 성장하였다. 또한 T/H 조건에서 하루가 지난 이후부터는 Sn의 표면 최상층에 매우 얇은 (<10 ${\AA}$) $SnO_2$ 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150^{\circ}C$에서는 SnO와 $SnO_2$가 같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XPS와 AES 표면분석을 통하여 환원 실험 결과를 뒷받침하였다.

The oxidation of pure Sn and high Pb-Sn alloys was investigated under different oxidizing condition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Both the chemical nature and the amount of oxides were characterized using electrochemical reduction analysis by measuring the electrolytic reduction potential and total transferred electrical charges. For pure tin, SnO grew faster under humid condition than in dry air at $85^{\circ}C$. A very thin (<10 ${\AA}$) layer of SnO, was formed on the top surface under humid condition. The mixture of SnO and $SnO_2$ was found for oxidation at $150^{\circ}C$. XPS and AES were performed to support the result of oxide reduc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