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idue characteristics of hexaconazole and chlorothalonil in several fruits

과일의 형태적 특성에 따른 농약의 잔류성과 분포

  • 이희동 (농업과학기술원 농약평가과) ;
  • 경기성 (농업과학기술원 유해물질과) ;
  • 권혜영 (농업과학기술원 유해물질과) ;
  • 임양빈 (농업과학기술원 농약평가과) ;
  • 김진배 (농업과학기술원 유해물질과) ;
  • 박승순 (농업과학기술원 농약평가과) ;
  • 김장억 (경북대학교 농화학과)
  • Published : 2004.06.30

Abstract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esticide residual characteristics in peaches, pear and grape. Pesticide residue patterns were remarkably different because of major factors affecting the pesticide residue patterns such as ratios of surface to weight, surface matrices, cultivations, sizes, increase rate of weight, and varieties of fruits, etc.. Pesticide residue levels in grape appeared higher than those in peaches and pear, because the pesticide solution sprayed was infiltrated and accumulated between grape granules. The matrices composing of fruit surface and the ratios of surface area to weight on fruits seemed to playa key role for determining the pesticide residual characteristics in fruits.

농약의 특성 및 과일별 농약의 잔류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복숭아, 포도 및 배 등 과수를 시험작물로 하여 침투성 살균제인 hexaconazole 2% SC와 비침투성 살균제인 chlorothalonil 53% SC를 혼용 희석하여 시험과수의 지상부에 1회 살포한 후 2시간, 3, 7, 14, 21일 째에 과일을 시료로 채취하였고, 시험기간 중 과일의 증체량을 조사하였다. 또한 경시적으로 농약 잔류량과 과육 및 과피 중 잔류농약의 분포비율을 조사하였다. 과일의 증체량은 털이 있는 복숭아는 약제 살포 21일 후에 약 57%, 털이 없는 천도복숭아는 약 40% 증가되었고, 포도와 배는 변화가 거의 없었다. 농약살포 직후와 대비한 21일 후의 잔류량을 비교한 결과 hexaconazole의 경우 복숭아에서는 13%, 포도에서는 24%, 배에서는 36% 농약이 잔류하였고, chlorothalonil의 경우에는 각각 11%, 27% 및 44%의 농약이 잔류하였다. 과일의 과피와 과육 등 부위별 잔류량을 조사한 결과 과육에서는 모든 시험구에서 검출한계 미만으로 검출되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EPA (2002) The Code of Federal Regulations. pp.321-331
  2. FAO (2002) Manual on the submission and evaluation of pesticide residue data. pp.58-85
  3. Hill, D. B. and D. J. Inaba (1990) Rate and persistence of residues on wheat used to explain efficacy differences between SC and EC formulations. Pesticide Science 29:57-66 https://doi.org/10.1002/ps.2780290108
  4. Ueji, M., Hiroko K. and Kouji N (2002) Analytical Methods of Pesticide residues. Soft Science. Inc. Tokyo Japan
  5. 권혜영, 김진배, 이희동, 임양빈, 경기성, 박인희, 최정 (2004) 비표면적을 이용한 토마토의 과종별 농약잔류량 예측. 한국농약과학회지. 8(1):30-37
  6. 김진배 (1997) 작물체 부착성 및 잔류성에 미치는 희석살포제 농약 제형의 영향.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진배, 송병훈, 전재철, 임건재, 임양빈 (1997) 제형에 따른 농약의 작물체 부착성 및 잔류성. 한국농약과학회지 1(1):35 -40
  8. 김찬섭 (1998) 토양시료 중 잔류농약 다성분 분석법 개발. 농업과학기술원 시험연구보고서. pp.883-909
  9. 농약사용지침서 (2003) 농약공업협회
  10. 농촌진흥청 (2002) 농약안전사용교육교재. pp.50~51
  11. 이영득, 이해근 (1985) 사과의 박피와 세척이 농약의 잔류경감에 미치는 효과시험 농약연구소 시험연구보고서 435-438
  12. 정영호, 김장억, 김정한, 이영득, 임치환, 허장현(2000) 최신 농약학. pp.272- 276, 시그마프레스
  13. 최신 농약의 잔류분석법 (1995) 일본 잔류농약분석법연구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