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and Quality Control of Data in the Digital Library System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 종합목록 데이터 품질평가 및 관리 방안

  • Published : 2004.09.01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Digital Library System DB and to suggest methods for its quality control. The evaluation criteria are hit rates, redundancy, completeness and accuracy. In spite of high hit rates excessive records representing one work resulted serious redundancy. The average completeness rate of records was $48.12\%$ due to low level of description. The Analysis of accuracy showed various errors in most of records corresponding to $92\%$. Emphasis on analysing the errors in detail detected the causing factors and suggested practical guidelines for school libraries' catalogers.

이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 종합목록데이터베이스의 품질을 평가하고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적중률, 중복성, 완전성, 정확성을 기준으로 삼아 데이터의 품질을 분석하였다. 데이터 베이스의 적중률은 매우 높은 편이었으나 동일 저작에 대해 상이한 레코드가 다수 존재하는 중복성은 심각한 수준이었다. 또한 입력해야할 항목에 대한 인식이 매우 상식적인 수준에 그쳐 레코드의 완전성 정도는 $48.12\%$이었으며, 정확성 분석 결과 $92\%$에 해당하는 레코드에서 다양한 오류가 발견되었다. 품질관리를 위한 제언과 더불어 오류 유형 분석을 통해 오류의 원인과 방지대책을 살펴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3. '2003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 구축. 운영 시. 도 관계자 협의회 자료'. (cited 2004.4.10)
  2. 김상준. 2003. 의학 분야 Web DB의 품질 평가: PubMed와 Embase를 대상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 학술발표논집', 17:33-56
  3. 김석영. 2002. 과학기술분야 해외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평가 연구. '정보관리연구', 33(1): 61-80
  4. 김성희. 2003. 데이터베이스 평가모델 개발을 위한 해외사례 조사연구. '국회도서관보', 40(2): 15-33
  5. 노지현. 2003. 유용성의 관점에서 본 도서관목록의 품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2): 107-134
  6. 윤정옥. 2003. 연속간행물 종합목록 데이터베이스의 레코드 품질 평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1): 27-42
  7. 이만수, 이상열, 신인수. 2003. 서지 데이터베이스의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34(3): 21-39
  8. 이병기. 2003. 인터넷 기반 학교도서관 정보시스템의 평가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0(1): 31-51
  9. 이응봉, 조현양, 류범종, 최재황. 2001. 과학기술분야 데이터베이스의 품질향상을 위한 품질평가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5(2): 109-132
  10. 이제환. 1998. 분산체계로 구축된 통합 DB의 품질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2(3): 179-206
  11. 이제환. 2002. 공동목록 DB의 품질평가와 품질관리. '한국문헌정보학회', 36(1):61-89
  12. 조순영. 2002. 종합목록 데이터의 오류 유형에 관한 연구 -KERIS 종합목록의 학위 논문 서지데이터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4): 5-19
  13. 학교도서관을 살리는 교사들. (online) (cited 2004.8.5)
  1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1. '과학기술 전문정보 DB 통합 및 표준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5.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2. '해외학술DB 선정 및 평가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KR 2002-4
  16. 한국교육학정보원. 2003a. 'DLS 운영을 위한 목록 구축 가이드 -DLS I-'. 서울:한국교육학술정보원. GM 2003-12
  17.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3b. 'DLS 활용 매뉴얼 - DLS I 단위학교용 -'.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GM 2003-17
  18.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3c. 'DLS 활용 매뉴얼 - DLS I 지원센터용 -'.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GM 2003-18
  19.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1996a. 데이터베이스 품질 평가. '데이터베이스 월드', (04): 51-55
  20.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1996b. 데이터베이스 품질 평가. '데이터베이스 월드', (05): 69-80
  21.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2000. '데이터베이스 품질 평가 항목'. 서울: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22. 함명식. 2002. 부산광역시교육청 디지털자료 실지원센터의 구축 사례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19(3): 31-48
  23. Anglo-American Cataloguing Rules. 1998. 2nd ed. 1998 revision. Ottawa: Canadian Library Association
  24. Basch R. 1990. 'Measuring the Quality of Data: Report of the Fourth Annual SCOUG Retreat.' Database Searcher, 6(8): 34-45
  25. Fox, C. 1994. 'The Notion of Data and Its Quality Dimensions,' Information Processing & Management, 30(1):9-19 https://doi.org/10.1016/0306-4573(94)90020-5
  26. Jasco, Peter. 1995. Testing the Quality of CD-ROM Database. in Basch, Reva. Electronic Information Deliverly. Brookfield, VT: Gower

Cited by

  1. Seeking and Using Information Sources by College Students: Comparisons of Information Seeking in Everyday Life and during Elections vol.44, pp.3, 2010, https://doi.org/10.4275/KSLIS.2010.44.3.117
  2. A Study on the Amendment of DLS Cataloging Rule vol.25, pp.2, 2014, https://doi.org/10.14699/kbiblia.2014.25.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