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iation Test on Food Safety Factor′s for Purchasing Rice

식품의 안전성요인이 쌀 구매에 미치는 차별성 검정

  • 이순석 (농촌진흥청 농업경영정보관실) ;
  • 오상헌 (농촌진흥청 농업경영정보관실) ;
  • 이상용 (농촌진흥청 농업경영정보관실) ;
  • 박주섭 (농촌진흥청 농업경영정보관실) ;
  • 김용희 (농촌진흥청 농업경영정보관실)
  • Published : 2004.03.01

Abstract

Factor analysis is estimated using housewives's intention data in Seoul province. Rice consumers considered safety, high nutritive value, shape and cultivation region as important factors in buying rice. The factors of food safety are brand and quality certification mark. The differences of two housewife groups on safety factor are caused by residence type, employment existence and residence region. The marketing strategies for rice containing food safety target housewives living in apartment, Gang Nam region. Also selling extension for target consumers housewives should be employed.

본 논문은 브랜드 쌀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factor)들이 소비자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분석을 위하여 서울시에 거주하는 1,000명의 주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주부들이 쌀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11개 항목을 5점 리커르트 척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비자들이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하는 것은 쌀의 잔류 농약 정도로서 4.12점이 나왔고, 영양가 높은 쌀(4.01점), 쌀알의 모양(3.96점) 및 쌀의 생산지(3.88접)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요인분석을 위해 고유치(eigen value) 값이 0.8 이상인 경우를 기준으로 요인 수를 분석한 결과 다섯 가지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그 특징은 유형적 차원과 무형적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전자인 유형적 차원은 건강성 요인(잔류농약, 도정일자, 완전미 여부), 지역성(생산지), 외관성(크기, 모양) 및 가격성 등의 가시적 차원으로 소비자가 쉽게 판단하거나 쌀간의 비교가 용이한 특성이며, 후자는 심리적 속성이나 상징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브랜드 상표와 품질 인증 마크가 가지는 신뢰성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무형적 차원인 식품의 안전성이 도시 주부 간 쌀 구매에 미치는 차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규성 검정 결과에 따라 독립 2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에서 도시주부가 특성별로 두 집단으로 구분되는 기준은 자의적 분류보다는 공통적인 기준을 이용하고자 평균값(나이, 학력, 소득, 동거가족 수)을 기준으로, 그 외의 경우는 더미변수(주부직업 유무, 주거형태 및 거주지역)를 이용하여 구분하였다. 식품의 안전성으로 추출된 요인 값의 평균에 대해 두 집단간 차이를 검정하였으며, 분석 결과 주거형태가 1% 유의 수준에서, 주부취업 여부 및 거주지역이 각각 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주부간의 나이, 학력, 소득수준 및 동거가족 수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추정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볼 때, 식품의 안전성 요인을 포함하는 쌀의 마케팅 전략은 취업주부, 아파트 거주자 및 강남지역 주부들을 대상으로 한 판매활동 강화가 요구된다. 아울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시 주부의 특성 변수들을 세밀하게 구분해서 분석하는 시장세분화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조완형 (2000) 친환경농산물의 생산. 유통실태와 유통활성화 방안. (사)환경농산물의 유통실태와 발전과제, p.5-20
  2. 농림통계년보 (2002). 농림부, p.50-74
  3. 박평식 (2002) 세계 쌀 산업 동향과 전망 및 경영혁신 전략. 강원도 농업기술원, WTO 개방농정하의 세계 쌀산업 및 강원 고품질 쌀 생산연구 동향, p.13-46
  4. 이순석. 오상헌. 정호근. 김충실 (2003) 다중범위 이산 선택 CVM기법을 이용한 무농약 브랜드 쌀에 대한 소비자 가치평가. 농업경영. 정책연구 30, 224-238
  5. 이순석. 이상용 (2003) 브랜드 쌀에 대한 소비자 선호 및 동질성 분석. 식품유통연구 30, 224-238
  6. 이순석 외 4인 (2003) 기능성 다이어트 쌀의 소비자 가치평가와 마케팅 전략.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0, 169-174
  7. 김광수. 김미승 (2000) 외국 유명 브랜드 구매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55,7-23
  8. Jliano, B. O. (1979) Proceedings of the workshop on chemical aspect of rice grain quality. IRRI. Philppines
  9. 이순석 외 4인 (2003) 요인분석에 의한 식품의 안전성이 쌀 구매에 미치는 차별성 검정.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쌀 박람회, p.143
  10. 오상헌 외 3인 (2003) 기능성 쌀의 소비자 가치평가와 마케팅 전략. 식품유통연구 20, p.143
  11. 성명환, 허주녕 (2003) 고품질 차별화 쌀의 유통 현황과 발전 방향. (사)한국쌀 연구회, 친환경쌀 생산 현황과 발전 방향, p,48-81
  12. 농촌진흥청 (2003) 쌀 품질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 분석
  13. 김용희 (1996) SPSS를 이용한 최적도 방법의 응용. '96 SPSS 사용자 사례논문, p.56-64
  14. 강병서. 김계수 (1999) 사회과학 통계분석, p.98-110
  15. 이종구 (2001) SAS와 통계자료 분석, p.8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