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eference and Utilization of Instant Foods of University Students Studying Tourism Science

관광학 전공 대학생의 즉석 가공식품 기호도와 이용도

  • Published : 2004.02.01

Abstract

The preference and frequency of use on instant foods were investigated for university students studying tourism science. The most preferred instant food group was noodles, and Tangs, Baps, Gooks, Zooks, one-dishfoods were preferred in order. The most preferred instant food was Cupramyeon. The preference score on instant foods of Tangs, Gooks and One dish foods for male students significantly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Also, students majoring non-cooking like instant food more than those majoring culinary science (p<0.05).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was shown in group of Baps and noodles, followed by one-dish food, Gooks, Tangs, Zooks in order. The largest number of students answered 'TV' and 'curiosity' to the question on the motives of use. The most students Purchased instant foods at 'convenience store' and 'small retail store'.

본 연구는 관광학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즉석가공식품의 기호도와 이용현황을 조사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7가지 즉석가공식품에 관한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각 종류에 따라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 (p<0.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류별로 가장 좋아하는 것은 컵라면이 속해 있는 면류(3.51$\pm$0.98)였으며 그 다음으로 탕류(3.38$\pm$1.18), 밥류(3.37$\pm$0.90), 국류(3.29$\pm$1.35), 죽류(3.17$\pm$1.03), 한그릇 음식 (3.14$\pm$1.00) 등의 순으로 선호하였다 성별에 따라서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남자가 여자보다 즉석 가공식품을 더 선호하였다. 탕류(p<0.001), 국류, 한 그릇 음식 (p<0.05)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종류별로는 해장국, 삼계탕, 곰탕, 육개장밥(p<0.001), 쌀밥, 덮밥, 북어국, 사골우거지국(p<0.05) 등이 성별간에 유의하였다 세부전공에 따라서는 비조리전공이 조리전공보다 즉석 가공식품을 더 선호하였으며(p<0.05), 국류만 조리전공이 비조리 전공보다 더 좋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종류별로는 호박죽과 짜장범벅에 대해서만 유의하였다(p<0.05). 즉석가공식품의 이용현황은 전체적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더 많이 이용하였으며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성별에 관계없이 전체 적으로 가장 높은 이용정도를 보인 것은 1위가 쌀밥, 2위가 컵라면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남자의 경우에는 덮밥, 흑미밥, 시금치 된장국, 해장국 등의 순이었고, 여자의 경우에는 오곡밥, 덮밥, 흑미밥 등의 순이었다. 모든 죽류에 대해서 유의성은 없으나 다른 음식과 달리 여자가 남자보다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에 따라서는 비조리전공(1.99$\pm$0.75)이 조리전공(1.78$\pm$0.68)보다 더 높은 이용 정도를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다 종류별로는 쇠고기죽, 육개장밥(p<0.01), 오곡밥, 단팥죽, 전복죽, 짜장밥, 카레밥(p<0.05) 등이 유의하였고 조리 전공학생은 쌀밥, 발아현미밥, 미역국밥, 라우동, 짜장범벅만을 비조리 전공 학생보다 더 많이 이용하였다. 또한 연령이 증가될 수록 즉석가공식품의 이용률도 증가되었고, 분류별로는 한 그릇 음식 (p<0.05), 면류(p<0.01)와 종류별로는 덮밥, 짜장밥(p<0.01), 해장국, 컵라면(p<0.05) 등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모두 26세 이상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석가공식품을 접하게 된 동기는 'TV광고', '호기심 ', '친구/가족들의 권유와 소개', '신문이나 잡지광고', '인터넷광고 및 홍보' 등의 순이었으며, 즉석가공식품의 구매장소로는 '편의점'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그 다음으로 '동네 인근슈퍼', '대형마트', '백화점 '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 볼 때 즉석가공식품의 이용률이 계속적으로 증대되고 있으나 남자가 여자보다 또는 비조리전공학생이 조리관련전공 학생보다 즉석가공식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세분화 고객에 대한 제품 개발과 홍보방안을 고려 해 보아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대학생들은 일부 즉석가공 식품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기호도와 이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학생들의 인터넷 사용율이 높은 점을 이용한 인터넷상의 적극적인 광고와 다양한 메뉴 개발과 홍보를 위한 꾸준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표본이 관광관련 전공의 대학생으로 편중되었으므로, 이를 전체 대학생이나 젊은 세대로 확대하여 해석하기에는 한계점이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일반인의 즉석가공식품에 대한 기호도와 이용현황을 조사하여 비교 연구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Kim HY, Choi SH, Ju SE. 1996. A survey of the behaviors on fast food restaurants. Korean J Dietary Culture 11: 71-82.
  2. Yang IS, Lee JM, Lee YE, Yoon S. 1998. Trends and feasibility of health-oriented convenience foods of Korean food industry. Korean J Dietary Culture 13: 215-225.
  3. Jung EY, Lim YH, Park MS, Kim MW. 2002. A survey of the consumption of convenience food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7: 149-155.
  4. 고정삼. 2002. 식품산업의 이해. 유한문화사, 서울. p 34.
  5. Noh JM. 1997. A study on dietary patterns and behaviors of self-boarding collage students in Wonju Areas. Korean J Dietary Culture 12: 495-508.
  6. Kim MS, Kim HJ. 2003. A study for eating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I).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127-135.
  7. Moon SJ, Yoon HJ, Kim JH, Lee YJ. 1998.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consumption pattern of convenience foods by korean collage students. Korean J Dietary Culture 13: 277-239.
  8. Kwak TK, Lee KA, Lyu ES. 1993. Consumer demands for prepared frozen or refrigerated foods and industry's response to consumer demands. Korean J Soc Food Sci 9: 230-238.
  9. Moon SJ, Yoon HJ, Kim JH, Lee YJ. 1999. A Factor analysis on the value system of convenience foods by Korean college students. Korean J Soc Food Sci 15: 327-337.
  10. Kwak TK, Lee HE, Park HW, Ryu K, Choi EJ, Hong WS, Jang HJ, Kim SH. 1997. The study of housewives' perception for the development of refrigerated convenience foods for Koreans. Korean J Dietary Culture 12: 391-400.
  11. Yoon S, Sohn KH, Kawk TK, Kim JS, Kwon DJ. 1998. Consumer trends on dietary and food purchasing behaviors and perception for the convenience foods. Korean J Dietary Culture 13: 197-206.
  12. Kim DS, Lee JW. 2002. Use and recogonition of nutrition labelings in processed food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J Korean Dietetic Assoc 8: 301-310.
  13. Yang IS, Bai YH, Hu WD. 1997. Defining one serving size of Korean processed food for nutrition labeling. Korean J Dietary Culture 12: 573-582.
  14. Hong KS, Baik SJ, Kim HS. 1999. The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in utilization and preference for the commercial Korean traditional foods. J Korean Living Sci Assoc 8: 363-372.
  15. Han MY, Ahn MS. 1998. A study on the purchase action of processed foods and the recognition for food additives of urban housewives. Korean J Dietary Culture 13: 119-126.
  16. Cho HS. 1997. A study on college students' dietary behavior and concionusness of Korean traditional food in Junlanamdo. Korean J Dietary Culture 12: 301-308.
  17. Choi SN, Chung NY, Yun ME. 2002. A study on the food habits and the dietary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 in Seoul. Korean J Dietary Culture 17: 57-63.
  18. Choi YS, Yoo YJ, Kim JG, Nam SM, Jung ME, Chung CK. 2001. Food preferences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in Kangwon provin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75-182.

Cited by

  1. Noodle consumption patterns of american consumers: NHANES 2001-2002 vol.4, pp.3, 2010, https://doi.org/10.4162/nrp.2010.4.3.243
  2. Analysis of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Vinegar-Based Sauce: Focus on IPA Skills vol.31, pp.5, 2016, https://doi.org/10.7318/KJFC/2016.31.5.465
  3. Representative Nutrients Contents and Nutritional Adequacy Evaluation of Single-Dish Meal for Middle School Students vol.23, pp.2, 2018, https://doi.org/10.5720/kjcn.2018.23.2.93
  4. 중부 지역 여자 대학생 중 아침결식군과 아침식사군의 식행동, 가공식품 선호도 및 영양표시에 대한 인식 vol.17, pp.4, 2004, https://doi.org/10.14373/jkda.2011.17.4.387
  5. HMR 선택속성이 만족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편의점과 대형마트의 비교 분석 vol.24, pp.3, 2018, https://doi.org/10.20878/cshr.2018.24.3.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