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cipe Standardization and Nutrient Analysis of Native Local Foods in Gyeongsangnamdo Region

경상남도 일부지역 향토음식의 조리표준화 및 영양분석

  • 김상애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권순정 (양산시 농업기술센터)
  • Published : 2004.02.01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standardize the recipes and to analyze the nutrients of native local foods of Gyeongsangnamdo region, such as 'euneo-bab', 'aeji-jjim' and 'gijang-eomuk.' The test recipes for each food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personal interviews and then supplied to sensory evaluation. All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ood were evaluated as 'moderate'. The results of the nutrients analysis of the native local foods using CAN Program 2.0 were as follows: protein and iron were high in 'euneobab', iron and folic acid were high in 'aeji-jjim', and zinc, vitamin A, B$_{6}$, and folic acid were high in 'gijang-eomuk', while all three native local foods were low in calories. In case of amino acid composition, all three native local foods were high in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nd arginine content. 'Gij ang-eomuk' was higher in fatty acid contents than the other foods, especially, high in linolenic acid and linoleic acid.

본 연구는 서구식의 확대와 향토음식의 감소 내지 부재현상이 증가하고 있는 현재 우리 고유의 향토음식의 보존$.$전승과 함께 향토음식의 영양학적 평가를 통하여 국민 건강증진에 일익을 담당할 수 있을 것에 목적을 두고 경상남도 일부지역의 향토음식인 은어밥, 애지찜, 기장어묵을 면접조사와 실험조리를 통하여 조리법을 표준화하고 영양성분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3종의 향토음식의 관능평가는 5점 척도법에 의하였고, 애지찜의 냄새항목이 3점 이상인 패널요원의 비율이 66.7%로 설정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으나 은어밥, 기장어묵의 각 5항목과 애지찜의 4항목(냄새항목외)은 설정기준을 만족하였다. 은어 밥의 전반적인 기호도는 3.9∼4.0(수용도 93.3%)로 높았고, 5항목의 관능검사 평균점수는 은어밥이 3.8(수용도 90.7%), 애지찜이, 3.2(수용도 77.3%)이었고, 기장어묵은 3.6(수용도 80.0%)이었다. 향토음식 1인분의 에너지는 은어밥이 468㎉(1/3RDA의 56%), 애지찜은 210 ㎉(1/3RDA의 2%), 기장어묵은 168 ㎉ (RDA의 20%)이었으며, 은어밥은 단백질ㆍ철급원식품, 애지찜은 철분 및 엽산급원식품, 기장어묵은 아연을 비롯한 비타민 A, B$_{6}$, 엽산의 급원음식이며, 저에너지음식이었다. 3종의 향토음식의 아미노산 조성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이 가장 높았고, 3종중 은어밥은 애지찜, 기장어묵에 비해서 모든 아미노산 조성이 매우 높았다. 또, 구성 지방산은 총지방산 함량은 기장어묵이 가장 높았고, 애지찜이 가장 낮았으며, P/M/S(포화지방산/단일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 비율은 기장어묵(1:1:0.7), 애지찜 (2:1:1)로 나타났다. 서구식 섭취경향으로 인한 만성 질환이 증대하고 있는 현재 향토음식은 건강식으로 부각되고 있으므로 향토음식의 표준조리법과 영양성분에 대한 자료는 향토음식의 보전전승을 위하여 학교급식의 메뉴로 이용 보급되어 어린이가 선호하는 패스트푸드가 최근 부각되고 있는 슬로푸드인 고유의 향토음식으로 변화된다면 이것이 국민건강증진 및 우리음식문화 발전의 틀이 되고 나아가 음식의 국제화시대에 부응하는 건강식. 의 메뉴가 되길 바란다.

Keywords

References

  1. Chung HK, Lee JH, Cho MS, Lee JM. 1996. Food of Seoul :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Dietary Constructions among Seoulite, Korea J Dietary Culture 11: 155-167.
  2. 김상애. 2001. 부산의 향토음식. Food Journal 1: 31-33.
  3. 한국영양학회. 2000. 한국인영양권장량 제7차 개정.
  4. 食品成分硏究會. 1986. 食品の食物纖維無機質. コレステロ-ル,脂肪酸含量表. 醫齒藥出版(株).
  5. 한국영양학회. CAN Pro 2.0.
  6. 岸朝子. 1997. アユを味わう. 食の科學 234: 31.
  7. 佐藤節夫. 1997. 古文書にみるアユ料理. 食の科學 234: 45.
  8. 조재선. 1984. 식품재료학. 문운당, 서울. p 389-397.
  9. 이성우. 1995. 한국요리문화사. 교문사, 서울. p 129.
  10. 이효지. 1995. 한국의 음식문화. 신광출판사, 서울. p 207.
  11. 경남향토음식. 1995. 경상남도농업진흥원.
  12. 한억. 1994. 향토음식개발과 보급. 한국음식문화세미나, 한국식품과학회. p 3.

Cited by

  1. Development of recipe for promoting consumption of Haetsun sprouts and their nutrient evaluation vol.21, pp.5, 2014, https://doi.org/10.11002/kjfp.2014.21.5.710
  2. Constitution of Formal and Informal Meals Consisting of Traditional Local Foods in Busan, Korea vol.41, pp.10, 2012, https://doi.org/10.3746/jkfn.2012.41.10.1467
  3. 부산 향토음식 동래파전의 조리표준화 및 영양분석 vol.36, pp.11, 2007, https://doi.org/10.3746/jkfn.2007.36.11.1472
  4. 향토음식 연구경향 분석 - 국내 식품영양학분야 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vol.32, pp.2, 2004, https://doi.org/10.7318/kjfc/2017.32.2.0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