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viation of Cluster Based on Template Images of Korean Children's Brain SPECT Image Using the Statistical Parametic Mapping

통계적 파라미터 뇌지도작성을 이용한 국내 어린이 뇌 SPECT영상의 표준틀영상에 따른 화소덩어리의 편차연구

  • 신동호 (경기대학교 의학물리학과) ;
  • 박성옥 (경기대학교 의학물리학과, 동남보건대학 방사선과) ;
  • 권수일 (경기대학교 의학물리학과) ;
  • 조철우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윤석남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이명훈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신동오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 Published : 2004.03.01

Abstract

SPM has been widely applied for comparison studios of the functional image data among groups of patients or individuals under different conditions and these images are from people ranging from children to adults. However, the analysis of children's brain images by using SPM can make children's brain images normalized to an adult's template image and this can result in some errors. So this study created the children's mean MR images based on the Magnetic Resonance Images of 36 normal children (age: 2~6, average age: 4.36, SD age: 1.41, M/F: 17/19), and the children's mean SPECT images by using SPECT images of 13 normal children (age: 2~6, average age: 4.80, SD age: 1.17, M/F: 10/3). We created the Korean children's brain template image, based on those mean images, and then we compared between the positions of the clusters, based on the blood flow, by normalizing ADHD children's SPECT image to Korean children's template image and SPM adult's template imag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variation of the cluster positions was found to be a maximum of 25 ㎜. Therefore, we should be aware that we need to consider the template image and the p-value when we analyze the chlidren's brain image by using SPM.

통계적 파라미터를 이용한 뇌지도작성(SPM)은 어른에서부터 어린이에게까지 환자그룹간 또는 개개의 서로 다른 상태의 그룹간의 기능 영상을 비교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SPM을 이용하여 어린이 뇌 영상을 분석할 경우 성인의 표준틀영상에 정규화되어 분석되고, 이로 인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어린이 2세에서 6세 사이 36명(평균 나이: 4.36세, 표준편차: 1.41세, 남자: 17명, 여자: 19명)의 MRI 영상을 이용하여 평균 MRI 영상을 만들고, 2세에서 6세 사이 13명의 어린이(평균나이: 4.80세, 표준편차: 1.17세, 남: 10명, 여: 3명)의 SPECT 뇌영상을 이용하여 평균 SPECT 영상을 만들었다. 이들 평균영상으로 국내어린이의 뇌 표준틀영상을 만들고, 어린이 ADHD의 뇌영상을 국내 어린이 표준틀영상과 SPM의 표준틀영상에 정규화 시켜 뇌혈류량에 따라 발생하는 화소덩어리의 위치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는 각 표준틀영상에 따라 최대 25 mm의 편차가 생겼다. 따라서 SPM을 이용한 어린이의 뇌영상을 분석할 경우 표준틀영상 또는 p값을 고려해야할 필요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