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Freshwater Inflow on the Spatio-temporal Variation of water Qualify of Yeongil Bay

영일만 수질의 시ㆍ공간 변동에 미치는 담수유입의 효과

  • 김영숙 (동해수산연구소 포항분소) ;
  • 김영섭 (동해수산연구소 포항분소)
  • Published : 2004.03.01

Abstract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fresh water inflow from the Heongsan river on the changes of water quality in the Yeongil Bay (Korea), the seasonal changes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chemical oxygen demand (COD), dissolved inorganic nitrogen(DIN) and phosphate phosphorus ($PO_4$-P) concentrations were examined using the data set obtained five fixed points of Yeongil Bay from 1998 to 2000. The distributions and changes of COD and concentrations of total inorganic phosphorous (TIP) and nitrogen (TIN) at three points Heongsan river, were also compared with those of Yeongil Bay. Based on the correlations of DIN and $PO_4$-P, it was found that the inflow of freshwater affected on the water quality of Yeongil Bay. Such a complicacy was confirmed by the prominent differences in n few water quality measures between Site 1(the innermost area) and Site 5 (the mouth of the bay). The negative correlations in $\Delta N/\Delta P $ at sites 1, 2 and 3 of the inner-part of the bay also indicated a large effect of freshwater inflow on the water quality of the bay. The extremely low atomic ratio of an average of 6.4 in $\Delta N/\Delta P $ compared to the Redfild ratio suggested that the DIN was depleted in the overall bay system. In contrast, it was inferred that the excessive PO$_4$-P concentration was due to the inflow of freshwater from the Heongsan river.

1998년에서 2000년까지 2월과 5월, 8월, 11월 각 분기별로 영일만과 형산강의 수질의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형산강에서 영일만으로 유입되는 담수가 영일만 수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수온은 5월과 8월에 높은 기온과 냉수대의 영향으로 표층수는 저층수보다 수온이 높으며, 염분은 형산강으로 부터 유입되는 담수의 영향으로 만 내측이 특히 낮은 특징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표ㆍ저층수의 염분차는 만 외측이나 만 중앙부에 비하여 만 내측이 크게 나타났다. COD는 8월과 11월에 각각 높게 나타났으며, 2월이 가장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정점별로는 표ㆍ저층 모두 대체적으로 영일만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 차는 크게 나타났다. DIN의 평균농도는 8월에 가장 높고, 5월에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정점별로는 표ㆍ저층수 동일하게 5월을 제외하고 정점 1에서 가장 높았으며, 대체로 만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PO_4$-P의 평균농도는 2월에 가장 높았고 8월에 가장 낮았다 정점별로는 정점 1에서 현저히 높았고 만 중앙부에 위치한 정점 3, 그리고 만 바깥쪽인 정점 4에서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저층수에서는 11월에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정점별로는 표층과는 상이하게 정점 5와 정점 1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분기별 형산강수질의 변동에서, COD는 2월과 5월이 각각 높았으며, 전반적으로 유량이 큰 8월이 가장 낮았으나 영일만 수질의 변화와의 비교에서 영일만에 미치는 영향은 가장 크게 나타내었다. TN의 농도범위는 COD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는데, 2월과 5월이 높았고 8월이 가장 낮았다. 반면 TP의 경우에는 2월과 5월에 낮았다. DIN과 $PO_4$-P사이의 상관관계에서, 전반적으로 영일만 내의 외 해수 유입과 담수의 유입이 상호 복잡하게 영향을 미쳐 상관성이 낮은 수치($r^2$=0.5 이하)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만의 가장 내측인 정점 1과 만입구쪽인 정점 5에서의 상이한 양상으로도 알 수 있었다. 또한 만 내 측인 정점 1, 2및 3에서 나타난 $\Delta N/\Delta P $의 부(-)의 상관관계에서도 유입되는 담수의 영향이 큼을 알 수 있었다. 영일만에서는 대체적으로 $\Delta N/\Delta P $ 원자비가 Redfild ratio평균 6.4로 낮게 나타나 전 해역에서 DIN이 $PO_4$-P의 농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갈된 상태를 나타내었으며, 반면에 과잉된 상태의 $PO_4$-P는 유입되는 형산강담수가 공급원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형산강수계 유량측정 조사보고서 건설교통부 낙동강 홍수통제소
  2. 형산강수계 유량측정 조사보고서 건설교통부 낙동강 홍수통제소
  3. 형산강·태화강수계 유량측정 조사보고서 건설교통부 낙동강 홍수통제소
  4. 사업보고 v.84 한국 연안어장 보전을 위한 환경오염조사연구 국립수산진흥원
  5. 환경백서 포항시 환경위생과
  6.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 해양수산부
  7. 낙동강권역 수질오염원 조사보고서 환경부 낙동강환경관리청
  8. J. Oceanol. Soc. Korea v.24 Primary productivity and nitrogenous nutrient dynamics in East Sea of Korea Chung,C.S.;J.H.Shim;Y.C.Park;S.G.Park
  9. Nature v.279 Growth rate influence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in oceanic waters Goldberg,J.C.;J.J.McCarthy;D.G.Peavey https://doi.org/10.1038/279210a0
  10. Nat. Fish Res. Dev. Inst. Korea v.57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s of marine bacteria in Yongil Bay Kang,Y.S.;K.Y.Kim;J.M.Shim;K.T.Sung;J.I.Park;J.Y.Kong
  11. J. Oceanol. Soc. Korea v.11 Environmental studies on Masan Bay 1. Physical factors and chemical contents Kim,J.M.;S.J.Han;J.W.Lee
  12. Bull. Nat. Fish Res. Dev. Korea v.57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nutrients in the euphotic zone of the East Sea Kim,K.Y.;K.T.Sung;J.M.Shim;Y.S.Kang
  13. J. Oceanol. Soc. Korea v.30 Current structures nd diffusion characteristics in Yongil Bay Lee,J.S.;C.K.Kim;J.H.Kim;K.B.Lim
  14. J. Korean Fish. Soc. v.32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demersal fish in Yongil bay, East Coast of Korea Lee,T.W.
  15. American J. Science v.282 Carbon, nitrogen, and phosphorus transport by world rivers Meybeck,M. https://doi.org/10.2475/ajs.282.4.401
  16. Plankton and productivity in the oceans Raymont,J.E.G.
  17. Science v.171 Nitrogen, phosphorus and eutrophication in the coastal marine eutrophication in the coastal marine environment Ryter,J.H.;W.M.Dunstan https://doi.org/10.1126/science.171.3975.1008
  18. J. Oceanol. Soc. Korea v.20 The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Yongil Bay, Korea Shim,J.H.;S.J.Bae
  19. Bull. Nat. Fish Res. Dev. Inst. Korea v.1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d water in Youngil Bay Son,S.J.
  20. Bull. Nat. Fish. Res. Dev. Agency v.47 The distribution of currents in Yongil Bay Sung,K.T.;K.B.Lim;S.C.Lee
  21. J. Korean Fish. Soc. v.28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nutrients in the surface waters of Deukrang Bay Yang,H.S.;S.S.Kim;G.B.Kim
  22. Ph. D. thesis, Hiroshima Univ. Enviromental analysis of phytoplankton growth in the Inland Sea of Japa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occurrence of red tide Yoon,Y.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