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ter Quality Assessment Using the Periphyton on the Artificial Substrates in Dae Stream, Busan

인공기질 부착조류에 의한 대천의 수질평가

  • 최철만 (경성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
  • 박연규 (밀양대학교 환경공학과) ;
  • 문성기 (경성대학교 생물학과)
  • Published : 2004.03.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water quality of Dae stream in Busan using the periphyton. Species of the higher rank 10% in standing crops were Cymbella ventricosa, Aulacoseira granulata, Gomphonema olivaceum, Synedra ulna through the study. In addition, Fragilaria intermedia ill the station 1 and 2, and Nitzschia palea in the station 3 and 4 dominated the periphyton community respectively. These species mainly appeared in the urban stream. Where input of pollutant is forecasted, standing crops of dominant species are investigated very highly. Also, standing crops of Nitzschia palea were higher in the pollution area such as polysaprobic than any other area. Water quality by the saprobic index were oligosaprobic in the station 1, $\beta$-mesosaprobic in the station 2 and 3, and $\alpha$- mesosaprobic in the station 4. These results suggests that the pollution of Dae stream gradually increased with downstream due perhaps to the loading of sewage from the new residental complex.

부산시 대천의 생물학적 수질판정을 하기 위하여 4개 정점에 인공부착기질을 설치하고 부착조류의 출현 특성을 조사하였다. 현존량의 상위 10%인 우점종은 정점 1과 2에서는 Cymbella ventricosa, Aulacoseira, granulata, Gomphonema olivaceum, Synedra ulna, Fragilaria intermedia로 나타났고, 정점 3과 4에서는 상기 4종과 더불어 Fragilaria intermedia 대신 Nitzschia palea로 나타났는데 모두 도심하천에서 주로 우점하여 출현하는 지표종이었다. 조사정점별로는 제1우점종의 현존량은 정점 1과 2에서는 Aulacoseira granulata가 각각 2,830 cells $ml^{-1}$, 2,030 cells $ml^{-1}$였고 정점 3에서는 Synedra ulna가 10,450 cells $ml^{-1}$, 정점 4에서는 Nitzschia palea가 23,470 cells $ml^{-1}$로 조사되어 오염원이 없는 지역에서는 우점종의 현존량이 거의 비슷하게 조사되었으나 오염원의 유입이 있는 지역에서는 우점종별로 현존량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오염이 심하게 되었다고 생각되었던 지역에서는 강부수성 수역에서 출현하는 오염종인 Nitzschia palea의 현존량이 다른 종들과는 달리 두드러지게 많이 출현했음을 알 수 있었다. 오탁지수에 의한 수질은 정점 1에서는 1.49로 빈부수성 수역이었고 정점 2와 3은 각각 1.75, 2.40으로 $\beta$-중부수성 수역, 정점 4는 2.86으로 $\alpha$-중부수성 수역으로 조사되었는데 전체적으로는 2.12로 $\beta$-중부수성이었으나 부산 시민들이 많이 찾는 도시공원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생각해 볼 때 향후 도시민들의 출입이 잦아져서 오염을 가속화시킬 우려가 커서 오염방지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육수학회지 v.32 부착규조군집에 의한 포천천의 수질평가 김용재
  2. Algae v.15 금강 부착조류 군집의 동태 김지환;이석준;오희목
  3. 한국환경농학회지 v.19 섬진강 수계 수질과 부착조류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이경보;김백호;이덕배;김재덕;최민규
  4. 환경생물 v.14 낙동강 수계 댐호의 부착규조 및 영양단계 평가 이정호;김용재
  5. 환경생물 v.14 수질오염 판정을 위한 기법 개발(Ⅰ) 부착조 류 군체화에 미치는 기질특이성 연구 정연태;최민규;김백호;위인선;이종빈
  6. 汚水生物學 津田松苗
  7. 環境の生物指標 2. 津田松苗
  8. 한국육수학회지 v.31 신천의 부착규조군집의 계절적 동태 최재신;김한순;강만도
  9. 경성대학교 기초과학연구논문집 v.14 도시화에 따른 도시하천의 봄철 식물플랑크톤상의 변화 최철만;배진현;문성기
  10. 한국육수학회지 v.30 부산·경상남도의 상류하천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부착조류 생체량의 분포 하경;박성배;김현우;김진수;주기재
  11. Kor. J. Phycol. v.5 An assessment of water quality by epilithic diatoms of Namchun water system Choi,J.S.;J.Chung
  12. Int. Revue. Hydro. Biol. v.49 Pollution of stgreams estimated by benthal phytomicro-organism. 1. A saprobic system on communities of organism and ecological factors Frerdingstad,E. https://doi.org/10.1002/iroh.19640490103
  13. Ber. d. deutsch. Bot. Ges. Okologie der Pflanzlichen Saprobien Kollkwitz,R.;M.Marsson
  14. Handbuch der Frishwasser-und Abwasser-Biologie Ⅰ Liebmann.H.
  15. J. Phycol. v.34 Periphyton as a tool for ecological assessment and management in the Florida Everglades McCormick,P.V.;R.J.Stevenson https://doi.org/10.1046/j.1529-8817.1998.340726.x
  16. Gasu. Wasserfach v.96 Die biologische Uberwachung der Gewasser und die Darstellung der Ergebnisse Pantle,R.;H.Buck
  17. Nara. Hydrobiol. v.6 Water pollution of Kanzaki river on Osaka prefecture and the diatom flora of the bottom mud on the river bed. Watanab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