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Dill and Stevia Hot-Water Extracts on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딜.스테비아 열수 추출물에 절인 배추김치의 품질 및 관능적 특성

  • Published : 2004.03.01

Abstract

The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at 15 $^{\circ}C$ were evaluated. Kimchi was prepared with Chineses cabbage which was brined in 10% salt water added dill hot-water extracts(DK) and stevia hot-water extracts(SK) respectively. The pHs and reducing sugar contents of kimchi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fermentation time whereas lactic acid(%) was increased. The pH of DK was lower than control, and the lactic acid(%) contents of DK, SK were equal or higher than control in the first stage of fermentation. Also, the reducing sugar contents of DK, SK were lower than control.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fermentation of DK and SK were faster than that of control in the first stage of fermentation. But the lactic acid(%) contents of DK, SK were higher than control after the 12th day of fermentation. It showed that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preservation of kimchi. With increasing fermentation time, the L value of kimchi juice was increased, and the a value was decreased, and the b value was constant. Especially, the a value of DK, SK was higher than control. It meant that DK, SK kept more carotenoids in kimchi than control. On the 6th day of fermentation, the sensory evaluation analyzed by ANOVA followe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showed that the levels of the green smell and the moldy flavor of DK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p<0.05) and the levels of the green smell, the green flavor and the moldy smell of SK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p<0.05), too. And the level of overall flavor of DK, SK was higher than control. The most preference among experimental groups was SK and then control, DK. The levels of TBARS of DK, SK were generally lower than control, and the level of TBARS of DK was lower than SK.

기능성은 강화되고 냄새는 억제된 수출용 김치를 제조하기 위하여 딜 열수 추출물과 스테비아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배추를 절이고, 이 배추로 김치를 담아 15$^{\circ}C$에서 저장하면서 품질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pH, 환원당은 감소하였고 산도(%)는 증가하였다. DK의 pH가 대조군 김치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고, 발효 초기에서 적숙기에 이르는 기간동안 DK, SK의 lactic acid(%) 함량이 대조군 김치에 비해 같거나 높았으며, 발효기간 중 DK, SK의 환원당 감소폭이 대조군 김치보다 더 큰 점으로 보아 DK, SK는 초기에 발효가 촉진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발효 12일 이후 DK, SK의 산도가 오히려 대조군 김치에 비해 낮아져 허브 열수 추출물 첨가가 김치의 저장성을 연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김치가 숙성됨에 따라 L값은 증가하였고, a값은 감소하였으며 b값은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김치는 발효됨에 따라 선명도가 증가하고 적색도는 감소하며 황색도는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김치군간을 비교한 결과 대조군 김치보다 DK가 더 선명하였고, SK는 선명도가 낮았으며, 대조군 김치보다 DK, SK의 적색도가 높아 허브 열수 추출물이 carotenoids를 안정화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 DK, SK는 허브의 소취 작용으로 인해 김치의 풋내, 덜익은 맛, 군덕내 및 군덕 맛 등의 잡냄새가 유의적으로 줄었다고 평가되었으며(p<0.05)그 결과 김치의 향미부분에서 더욱 좋은 점수를 얻었다(p<0.05). 관능검사 결과를 종합해본 결과 관능적으로 가장 우수한 김치는 SK이었으며 그 다음이 대조군 김치, DK이었다. TBARS는 대체적으로 대조군 김치에 비해 DK, SK의 TBARS 값이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SK보다는 DK의 TBARS 값이 전반적으로 낮아 딜과 스테비아의 열수 추출물에 절인 배추로 김치를 담은 경우 TBARS 생성 억제 효과가 증진되었으며, TBARS 생성억제 효과는 스테비아 열수 추출물보다는 딜 열수 추출물에서 더 컸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명, 이준호 : 김치산업의 현황과 최근 연구 및 기술개발 동향, 식품산업과 영양, 6. 52-59(2001)
  2. 박혜진, 김순임, 이윤경, 한영실 : 녹차의 첨가가 김치의 품질과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과학회지, 10. 315-321(1994)
  3. 문성원, 장명숙 : 오미자 물추출물이 나박김치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9. 814-821(2000)
  4. 하정옥, 박건영 : Alginate의 Na 흡착효과와 다시마 첨가 김치의 개발,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9. 995-1002(2000)
  5. 송태희, 김상순: 인삼을 첨가한 김치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 냉장보관을 중심으로-, 한국조리과학회지, 7. 81-88(1991)
  6. 정해옥, 정동옥, 박인덕 : 허브를 첨가한 양파김치의 관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지, 8. 259-265(2002)
  7.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Virginia, p. 918(1990)
  8. Miller, G.L. :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p. 426(1959) https://doi.org/10.1021/ac60147a030
  9.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식품영양 실험 핸드북, 식품편, 도서출판 효일, p. 647-649(2000)
  10. 박건영, 이숙희, 조은주: 배추김치의 재료배합비 표준화, 한국식품과학회지, 29. 1228-1235 (1997)
  11. 이하영, 백재은, 한영실 : 북어가루 첨가가 김치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과학회지, 19. 254-262(2003)
  12. 김미향, 김순동, 김광수 : 소금절임 조건이 민들레 김치의 숙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32. 1142-1148(2000)
  13. 노홍균, 이명희, 이명숙, 김순동 : 김치액의 색상에의한 배추김치의 품질평,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1. 163-170(1992)
  14. 구경형, 강근옥, 김우정 : 김치의 발효과정중 품질변화, 한국식품과학회지, 20. p. 476(1988)
  15. 박우포, 이동선, 안덕순 : 포기김치와 맛김치의 온도별 품질특성 비교, 한국식품과학회지, 29. 784-789(1997)
  16. 최영전 : 허브와 스파이스 가이드북, 도서출판 예가, p. 80-84, 294-297(1997)
  17. 北野 佐久子: Encyclopedia of herbs, Korea Gardening Technic Information Center, p. 102-105(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