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Extract Against Vibrio parahaemolyticus

Vibrio parahaemoiyticus에 대한 산초 추출물의 항균활성

  • 김정순 (삼성에버랜드(주) 식품연구소) ;
  • 구경모 (삼성에버랜드(주) 식품연구) ;
  • 정용현 (삼성에버랜드(주) 식품연구) ;
  • 양재길 (삼성에버랜드(주) 식품연구) ;
  • 이강권 (삼성에버랜드(주) 식품연구소)
  • Published : 2004.03.01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ossible utilization of Zanthoxylum schinifolium as a source of decontamination agents. The antimicrobial effect of Zanthoxylum schinifolium extract was investigated against Vibrio parahaemolyticus which is food-born disease organism. Ethanol extract of Zanthoxylum schinifolium was compared with water extract of Zanthoxylum schinifolium to test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Vibrio parahaemolyticus by disk method. Ethanol extract was more effective than water ,extract on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It had remarkable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Vibrio parahaemolyticus. It was very stable on the wide range of temperature and pH. It turned out by GC-MS that estragole (4-allyl anisole) was a major antimicrobial component of Zanthoxylum schinifolium extrac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Zanthoxylum schinifolium extract could protect against bacterial contamination and inhibit a growth of Vibrio parahaemolyticus.

산초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중국 등지 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전통적으로 우리 정서에 친숙한 식미와 향기를 가지는 아시아권의 공통적인 향신료이다. 더불어 우리나라에서는 생선회와 어패류의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Vibrio parahaemolyticus에 의한 식중독발생 억제방안의 확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독성이 없는 새로운 천연 식품 보존제의 개발을 위하여 식품 및 향신료로서 적용 범위가 광범위한 산초를 대상으로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천연항균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산초나무 추출물의 항균작용을 알아보기 위해서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균력 분석에서 종자를 제외한 성분으로 제조한 산초의 주정추출물이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이 추출물의 온도 및 pH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다양한 범위의 온도, pH에 대해서 매우 안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GC-MS에 의한 산초 추출물의 분리, 동정 결과에서는 estragole이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주성분임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되는 산초를 Vibrio parahaemolyticus에 의한 식중독을 줄일 수 있는 항균제로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식품첨가제 및 포장재, 식품포장 외부 충진 물질, 살균소독제 등의 다양한 형태로의 응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식품의약품안정청. 2002. 식중독 발생상황. 한국의 식중독 발생현황. 식중독 발생건수와 환자수.
  2. 工藤泰雄, 大橋 誠. 1990. 腸炎ビブリオ 第III集. 近代出版, 東京. p 26-36.
  3. Park SK, Park JC. 1994.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and coumaric acid isolated from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Korean J Biotechnol Bioeng 9: 506-511.
  4. Choi SC, Jung JS. 1997. Studies on antimicrobial of impatiens balsamina extract (II). J Korean Fiber Soc 34: 393-399.
  5. Park CS. 1998. Antibacterial activity of edible plant against pathogenic bacteria.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5: 89-96.
  6. Yang JY, Han JH, Kang HR, Hwang MK, Lee JW. 2001. Antimicrobial effect of mustard, cinnamon, Japanese pepper and horseradish. J Fd Hyg Safety 16: 37-40.
  7. Lee JW. 1998.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Korean sancho fruit and tree (Zanthoxylum Schinfolium). Korean J Food & Nutr 11: 493-498.
  8. Cho SH, Kim YR. 2001.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Scutellariae Radix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964-968.
  9. Davidson PM, Parish ME. 1989. Methods for testing the efficacy of food antimicrobials. Food Technology 43: 148-155.
  10. Chung KH, Lee SH, Lee YC, Kim JT. 2001. Antimicrobial activity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27-132.
  11. Chung SK, Jung JD, Cho SH. 1999.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hopi (Zanthoxylum piperitum DC.)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71-377.
  12. 채영암. 2001. 전통 향료 유전자원 산초 및 초피의 화학형 분류. 농업생명과학연구 5: 23-26.
  13. Bahk JR, Park SH, Kim JO, Kim SW, Lee SY. 1997. The effect of estragole identified and extracts form Agastache rugosa O. Kuntze on the fungal growth and metabolism. J Fd Hyg Safety 12: 63-70.

Cited by

  1. Effect of Herbal Extracts Supplementation on Ruminal Methane Produc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vitro vol.21, pp.9, 2011, https://doi.org/10.5352/JLS.2011.21.9.1315
  2. Studies on Proximate Composition, Fatty Acids and Volatile Compound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Fruit According to Harvesting Time vol.19, pp.1, 2011, https://doi.org/10.7783/KJMCS.2011.19.1.001
  3. 병원성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천년초 선인장 추출물의 항균 활성 vol.33, pp.8, 2004, https://doi.org/10.3746/jkfn.2004.33.8.1268
  4. 자생식물 열수추출액의 항균효능 검색 vol.14, pp.6, 2004, https://doi.org/10.5352/jls.2004.14.6.951
  5. Effect of Chaff Vinegar on the Growth of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vol.10, pp.2, 2004, https://doi.org/10.3746/jfn.2005.10.2.130
  6. 애기달맞이꽃(Oenothera laciniata Hill) 추출물의 항균활성 vol.36, pp.3, 2004, https://doi.org/10.3746/jkfn.2007.36.3.255
  7. 경단구슬모자반(Sargassum muticum)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vol.36, pp.6, 2004, https://doi.org/10.3746/jkfn.2007.36.6.663
  8. 등대풀(Euphorbia helioscopia)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vol.36, pp.9, 2004, https://doi.org/10.3746/jkfn.2007.36.9.1106
  9. 보리 흰가루병 곰팡이 Fusarium graminearum에 대한 산초 추출물의 항진균 활성 vol.18, pp.7, 2004, https://doi.org/10.5352/jls.2008.18.7.974
  10. 와송 부위별 추출물의 항균활성 vol.38, pp.1, 2004, https://doi.org/10.3746/jkfn.2009.38.1.014
  11. 산초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미백 및 항염증 활성 vol.40, pp.4, 2004, https://doi.org/10.4014/kjmb.1207.07023
  12. 천연방부제로 사용된 한약재의 항균활성에 대한 동향 분석 vol.29, pp.1, 2015, https://doi.org/10.15188/kjopp.2015.02.29.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