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반복 작업유형별 근골격계 질환 발생특성과 예방 대책에 관한 연구

Study on Simple Repetitive Work and the Risks of Musculoskeletal Injuries

  • 임완희 (동국대학교 안전공학과)
  • 발행 : 2004.03.01

초록

본 연구는 단순반복 작업자의 근골격 질환 발생 급증에 따라 이들 발생 원인과 업종간 발생 정도에 대한 차이를 도출하기 위해 기존의 단일 업종 조사에서 벗어나 다양한 업종간 장시간의 단순반복작업에 따른 발생 실태 차이를 도출하기 위해 현장 실태조사를 하였다. 먼저 기초 실태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근로자들이 근골격계질환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병원치료를 받은 경우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근골격계질환이 작업에서 발생되는 것이기는 하나 그 위험성을 아직 깨닫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담당업무별로도 발생빈도에 있어 근골격계질환자가 발생하는 비율이 직종에 따라 다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형, 운전, 포장업무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의 예방을 위해서는 각 담당업무별로 근골격계질환 노출 정도에 맞추어 성형업무에서는 자동화기기로의 대체와 작업장 환경 평가결과 제시된 개선계획에 대한 철저한 이행 및 회사차원에서의 지속적인 관심과 정밀 측정 기법을 적용한 지속적 연구가 요구된다.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found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that most of the workers studied suffered from some sort of musculoskeletal injury, but did not obtain hospital treatment, which shows that although their work was the source of injury, they did not realize the significance of their injury. In addition, there were some subjects that did not even know what musculoskeletal injuries were and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companies need to educate their workers about musculoskeletal injuries and show the significance of the injuries. Also, there was a difference in rates of musculoskeletal injuries in different occupations, with higher rates of injury in esthetics, driving and packaging positions. This calls for the use of automated machinery and alteration of the working environment to make it more ergonomic according to the recommended improvement plan, and continuous effort and support on the part of the company in order to reduce the risk of musculoskeletal injuri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