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Fermentation Vessel on Quality of Anchovy Soy Sauce

발효 담금 용기에 따른 어간장의 숙성 중 품질변화

  • 정순경 (창원전문대학 제과제빵과) ;
  • 이광수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 ;
  • 조성환 (경상대학교 식품공학과)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Anchovy soy sauce containing anchovy sauce was ripened in different vessels at 30$^{\circ}C$ for 4 months and measured in physical, chemical, microbiolgical and sensory quality attributes. The used vessels include glass,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stainless, and onggi (Korean earthenware) with 628 mL. Compared to the other vessels, onggi gave the highest moisture loss, maintained consistently higher microbial counts in total aerobic bacteria,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s, and attained high protease activity in the soy sauce product. Even with high moisture loss the onggi vessel did not produce the higher product salt content than the other vessels because there was salt diffusion outward through the container wall. All of these changes of the product in onggi resulted in lower pH, higher acidity and higher amounts of free amino acids and nucleotides after 4 month period, which was desirable for sensory quality.

발효식품 담금 용기로 사용되고 있는 유리, PP, PET, 스테인레스 용기와 흙으로 제작된 옹기에 간장을 각각의 용기에서 발효하는 과정에 나타나는 물리, 화학적인 변화를 분석하여 발효식품 담금 용기에 따른 품질 특성을 분석, 평가하였다. 발효조건은 3$0^{\circ}C$ 발효실에서 4개월 동안 진행되었다. 저장 중 수분손실은 기공이 있는 옹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염 함량은 용기별 차이는 미미하였다. pH의 경우 옹기를 제외한 다른 용기는 초기부터 끝까지 거의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였으나 옹기는 3개월 째 급격하게 낮아졌다. 이는 기공율에 의해 미생물의 활발한 증식과 이에 따른 산도의 증가로 인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현상은 발효식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도는 초기 0.6%에서 최고 0.9%까지 약간의 증가를 보였다. 총질소량은 다른 용기에 비해 옹기에서 높게 나타났고, 핵산은 옹기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맛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실제 관능검사 결과와 거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미생물군의 변화는 호기성 세균인 총균수는 높은 균수를 보였으며 발효 2개월째 가장 높은 균수를 보이다 그 이후 감소하였다. 젖산균과 효모는 3개월 이후 가장 높은 균수를 보였다. Protease 활성 역시 옹기발효 처리구에서 강한 활성을 보이고 있다. 이는 아미노산의 분석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이고 있다. 아미노산 분석에서는 맛에 관여하는 glutamic acid의 함량이 옹기발효에서 월등히 높게 나타나고 있고 이러한 결과는 관능검사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조덕현, 이우진 (1970) 한국재래식 간장의 발효미생물에 관한 연구. 한국농화학회지, 13, 35-42
  2. 김종규, 김칭식 (1980) 한국재래식 간장의 맛 성분에 관한 연구. 한국농화학회지, 23, 89-105
  3. 김종규, 정영건, 양성호 (1985) 한국재래식 간장의 맛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 한국산업미생물학회지, 13, 285-287
  4. 고영수, 전명진 (1986) 시판 및 재래식 간장의 일반성분 및 아미노산 성분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4, 105-116
  5. 권오진, 김종규, 정영건 (1986) 한국 재래식 간장 및 된장에서 분리한 세균의 특성. 한국농화학회지, 29, 422-428
  6. 지원대, 이은주, 김성영, 김종규 (1992) 한국 재래식 간장의 특징적 향기성분. 한국농화학회지, 35, 346-350
  7. 박찬경, 황인경 (1995) 재래식 조선 간장의 소비 실태 및 소비자 관능 검사. 한국조리과학회지, 11, 521-526
  8. 유진영, 김현규, 권동진 (1998) 효모첨가에 의한 재래식 간장 제조공정 개선. 한국식품영향과학회지, 27, 268-274
  9. 강일준, 함승시, 정차권, 이상영, 오덕환, 도재준 (1999) 산채류를 이용한 양조간장의 제조 및 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31, 1203-1210
  10. 배원태, 조영제, 허보영 (1984) 서부경남 가야토기의 태토분석을 위한 기초적 연구.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논문집, 99-108
  11. 이군자, 박청길 (1981) 식품저장용 옹기류의 납 용출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과학회지. 14, 158-164
  12. Mohammed, A., Ahsanullah, K., Azhar, A.N. and Shamin, A. (1997) Heavy metals: leaching from glazed surfaces of tea mugs.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09, 49-54
  13. 이광호, 권기성, 전대훈, 정동윤, 최병희, 이선희, 이철원 (2000) 주방용 도자기에서의 유해중금속 용출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식품위생 안전성학회 15, 324-327
  14. 유선미, 김진숙, 신동화 (2001) 전통 된장의 담금용기에 다른 숙성 중 품질변화. 한국농화학회지, 44, 230-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