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literature on Km women's history from ancient times to the end of the Japanese occupation is collected and analyzed The total number of documents treated in this paper is 369. The documents, all written by 2003 include books, theses for master's and Ph. D. degrees, journal articles, and digital papers on the Internet home pages. The results shows that the favored themes of the researchers were women's status, education, and arts. Other subjects include women's activities, daily life, biographies, and religion. The most preferred period was the Chosun Dynasty and the least preferred period was the Koryo Dynasty. The usual method of these documents is narrative. There are few attempts to compare women's history of Korea with that of other countries.
고대로부터 일제 말기까지를 연구대상으로 한 우리나라 여성사 연구문헌을 수집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분석된 문헌은 2003년 말까지 생산된 369건의 도서, 학위논문, 학술지기사(전자문헌포함)이다. 분석결과, 연구자들은 여성의 지위에 가장 큰 관심을 보였으며 교육, 예술분야와 함께 선호하는 연구주제였다. 그 외에 여성의 활동, 생활, 인물, 종교 등의 주제를 연구하고 있으며 점차로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는 경향을 보였다. 시대별로는 조선시대의 여성연구가 가장 많고 고려시대의 여성에 관한 연구가 가장 적었다. 연구문헌의 상당수가 단선적 서술형식의 연구였고 주장이 강한 여성해방운동사적 연구도 많이 있었다. 그러나 한 시대와 다른 시대간의 비교연구 또는 국외의 여성사와의 비교연구는 거의 없었다.